경기연구원 학술지홈페이지
[ Article ]
GRI REVIEW - Vol. 25, No. 4, pp.333-357
ISSN: 2005-8349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3
Received 09 Oct 2023 Revised 14 Nov 2023 Accepted 16 Nov 2023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 개발연구

김현숙* ; 이세형**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 초빙교수(제1저사)
**신구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교신저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S City, Gyeonggi Province
Kim Hyunsuk* ; Lee Se hyung**
*Invited Professor in the Dept. of Social Welfare at Kangnam University(First Author)
**Assistant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Shing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초록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에 기업은 사회적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경기도 S시는 판교를 중심으로 기술 및 다양한 산업의 중심지로써 기업사회공헌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관련하여 이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한 기업사회공헌활동 측정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업사회공헌활동을 기획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지표를 활용하여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에 최적화된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문항은 기업사회공헌 담당자와 S시 지역사회 사회복지시설 기관장의 자문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평가를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을 통해 적합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각 표준화계수들을 살펴보면, 모든 추정치가 0.6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지표의 집중타당도 수준을 확인했는데, 모든 지표의 AVE는 모두 0.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C.R.또한 0.7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각 지표들의 집중타당도 수준은 수용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S시 지역사회 최적화된 기업 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를 제시한다.

Abstract

After the COVID-19 pandemic, businesses are strengthening social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continuing effort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Particularly, in S City, Gyeonggi Province, centered around Pangy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re diver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for measuring community-base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o validate them. The goal i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constructed items optimized for the evaluation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S City, Gyeonggi Province, using indicators validated in previous studies. The formulated items were reviewed based on advice from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managers and welfare facility managers in the S City community.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S City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Examining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all estimated values were found to be 0.6 or higher,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ncentration validity level of each indicator was confirmed, with all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values being 0.5 or higher. The Composite Reliability (C.R.) was also found to be 0.7 or higher, indicating an acceptable level of concentration validity for each indicat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optimized indicators for evaluati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 S City community, Gyeonggi Province.

Keywords: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ocial Contribution Index,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andardized Coefficients.

키워드:

기업사회공헌활동, 사회공헌지표, 구조방정식, 확인적 요인분석, 표준화계수

Ⅰ. 서 론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에 기업은 사회적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 S시는 판교를 중심으로 기술 및 다양한 산업의 중심지로써 기업사회공헌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사회공헌활동은 최근 기업의 ESG활동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경영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은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경기도 S시에서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발전과 지역주민 대상 서비스의 강화에 힘쓰고 있다. 경기도 S시는 판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의 기업사회공헌활동 활성화에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사회공헌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맞춰 양질의 사회공헌활동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평가지표 개발이 요구된다. 경기도 S시 역시 시민의 복지증진과 관내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서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적절한 평가지표 마련이 필요하며, 평가지표에는 기업의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하여 국제표준화기구(ISO)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기업이 경제· 사회· 환경문제 등에 대한 기여를 통해 지역사회에 혜택을 가져오는 것으로 정의하였다(김성택, 2012). 또 다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이 기업 내부의 긍정적 변화와 기업에 대한 이미지 개선, 친사회적 조직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윤상용·임상수·조윤형, 2017).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되는데 대표적으로 사회적 기금을 조성하여 공익적 자금 지원을 수행하거나 기업의 생산품 일부를 기부하는 등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기업사회공헌활동이란, 기업 내 자원을 활용하여 윤리적이고 재량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에 사회가 기업에 기대하는 법적·경제적 역할 차원을 벗어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김지혜, 2015).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사회공헌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촉진 및 지속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지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S시에서 이뤄지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선행연구 고찰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사회공헌활동의 개념

최근 기업의 ESG 열풍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재무적 이윤 창출과 함께 비재무적으로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동시에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지역사회에 커다란 영향력을 지닌 기업이 그 사회가 지향해야 할 보편적인 사회적 가치를 추구해야 함을 의미한다. 오늘날 기업은 지역사회에 중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2000년대 이후 민간영역에서의 자원동원이 주요한 이슈로 논의되면서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련 조직들은 정부가 아닌 또 다른 수입원으로부터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노현희, 2004). 따라서 사회복지 조직에서는 기업을 민간재원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면서 지금까지 전적으로 정부자원에 의존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민간재원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활용하는 노력들이 확장되고 있고, 이로 인해 기업과 사회복지 조직간의 파트너십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김현철, 2016).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면 경기도 S시 역시 민간재원으로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역할이 더욱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기업사회공헌활동은 우리사회의 사회보장 기능의 일부 보완적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자원 분담 공급자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 현황

최근 기업사회공헌활동을 측정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 연구한 기업사회공헌활동 지표를 살펴보면, 사회가치(60점), 기업가치(40점)의 배점으로 구성하였다. 사회가치는 문제의 적합성(20점), 운영의 충실성(15점), 문제 해결의 기여도(25점)으로 구성되었으며, 기업가치는 전략연계성(20점), 공유가치창출(20점)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모사업에 참여한 기업의 참여수준을 바탕으로 연구하였으며, 모금회의 특성상 기업사회공헌활동이 가장 빈번하게 이뤄지는 기관에서 실시하여 지표의 보편성을 충분히 확보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황정은 외(2013)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에 필요한 경영적 차원의 동기와 철학, 사회공헌활동의 실행, 사후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의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지표 하에 중간지표 22개, 하위 지표 32개로 구성하였다. 해당 지표는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와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지표를 구축하고, 이를 다시 AHP분석을 통하여 각 성과지표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다만, ISO26000 등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김지혜(2015)는 ISO26000의 지침을 바탕으로 척도 문항을 구성,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척도개발을 위하여 기업사회공헌담당자와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였으며, 94케이스의 설문 데이터를 통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수행했다. 사회공헌활동의 구성요소 중 기획 및 전략과 관련한 부분은 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해와 조직 특성과 사회공헌 활동의 연관성에 배치하였고, 기부 및 봉사활동 등 프로그램과 관련한 부분은 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 항목에 배치하였다.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과 관련한 부분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 항목에 배치하였으며, 평가와 관련한 부분은 사회공헌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 항목에 배치하였다.

ISO26000지침을 활용한 기업사회공헌 평가지표(김지혜, 2015)

2)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사례를 통한 방향성 설정

선행 지표들을 통하여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 시 주로 논의되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사회공헌활동은 각종 물적 체계에 대한 수준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사회공헌활동과 관련된 예산, 인력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한다. 또한 해당 기업의 운영 전략과 사회공헌활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업의 운영진과 조직원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지도 주요 평가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회공헌활동 시 사회공헌 관련 협력 기관과의 관계, 여러 이해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등을 형성· 유지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는데, 협력관계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 정기적인 회의 등이 주요 평가 요인이 된다. 기업사회공헌활동은 이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는지, 외부의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있는지 등은 사회공헌활동의 신뢰도 측정이 주요 요인으로 설정되고 있다. 또한, 조직원과 지역사회 주민들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지, 직접 참여 외에도 관련된 여러 의견들을 수렴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사후 관리, 실적 관리, 모니터링 체계 등 일련의 평가와 관련된 체계들이 갖추어져 있는지, 해당 평가체계가 충분히 기능하고 있는지 등 또한 평가의 대상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SO26000의 지침을 바탕으로 척도 문항을 구성한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김지혜, 2015)를 활용하여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적절한 지표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지표는 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앞서 살펴보았던 다양한 평가지표의 내용을 충실히 담아내고 있는 장점이 있다.


Ⅲ. 연구방법

1.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 개발과정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평가가 가지는 목적에 따라 평가의 접근방법이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평가를 통한 실태 확인 또는 상대적 비교 등을 시도하는 경우, 기업은 피평가자가 된다. 다수의 지표에서 기업은 평가의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어 평가자의 전문성 및 평가지표의 신뢰성에 기반을 두어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절차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의 객관적인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나 지역사회 관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성화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지역사회의 복지력 증진을 위한 기업사회공헌 활성화를 목표로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안할 시에는 관내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특히 기업사회공헌 영역 전문가의 참여 외에도 지역사회 내 전문가의 의견 반영과 관내 기업 담당자의 의견이 적절하게 혼합될 필요가 있다.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를 구성하기 위하여 아래의 과정을 거쳤다. 1차 문항 구성은 김지혜(2015)의 척도를 중심으로 구성, 황정은 외(2013)의 지표 가운데 기업사회공헌 관련 인프라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후 연구진 내부 회의를 통하여 각 질문 가운데 지역사회 위치한 기업들이 응답할 수 없는 문항들을 제거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에 기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추가하고자 기업사회공헌 관련 지표의 배점 체계를 활용, 평가 지표별 배점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때 기업사회공헌 관련 지표 외에도 사회복지 영역에서 활용되는 여러 지표 체계들의 기준설정 사례(예시. 기관 평가 지표, 프로그램 평가 지표 등)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평가지표 구성 과정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평가지표는 기존의 지표들이 주로 다루고 있는 요인들을 충분히 포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문항을 구성해야 한다.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평가지표는 최종적으로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해야하기 때문에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표의 자체적인 활용 가능성을 내포해야 한다.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평가지표는 외부의 기업사회공헌 전문가의 의견보다 관내 기업 담당자의 의견과 지역사회 내 전문가들의 의견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평가지표는 관내 기업 담당자와 지역사회 전문가가 인식하는 영역별 중요도를 적절하게 반영하였다. 지표는 상위지표 5개 하위지표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기업사회공헌활동 지표 세부 문항 및 배점

2. 자료분석 방법

첫째, 구성된 지표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에 대한 정보 및 각 문항별 응답의 분포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 각 문항별 응답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응답의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여 분포상의 문제 등을 검토하였다. 하위 지표 간의 신뢰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값을 활용하였다. 그 외에도 각 문항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결과,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수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이론을 바탕으로 설정한 요인모형을 검증하는 방법이며,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는 달리 이론 검증과정의 특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지표의 경우, 다양한 평가지표들을 고려하여 각 문항들이 구성되었고, 타당성 수준이 검증된 기존 지표들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탐색적 요인분석을 생략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지표들이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카이제곱검정의 유의성을 확인하며, 그 외에도 모형의 적합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절대적합지수인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와 SRMR(Standardized Root Mean Residual), 증분적합지수인 CFI(Comparative Fit Index)와 TLI(Turker-Lewis Index) 등의 지표를 검토하였다. 여기서 RMSEA은 .08이하일 때, SRMR은 .10이하일 때 수용 가능한 적합도로 판단한다(Schermelleh-Engel, Moosbrugger, and Muller, 2003). 이상의 분석에는 Mplus 8.0 프로그램이 활용된다. 추정방법은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강건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Parameter Estimates with robust Standard Errors : MLR)을 사용하였다. MLR은 일반적인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에 비해 극단치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본 설문 자료는 응답자의 수가 100명 이하이기 때문에 소수의 극단적인 응답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추정방식을 선택하였다.

셋째, AHP를 실시하였다. S시 지역사회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각 영역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통하여 각 영역별 점수가 가지는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 결과에 반영하고자 했다. AHP분석은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서열화시키는데 주로 활용된다. 넷째, 최종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대적 가중치를 종합하여 평가요소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먼저 응답의 일관성을 바탕으로 최종 분석 대상을 선정한 후 최종 분석대상의 상대적 가중치 값을 산술평균 혹은 기하평균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하나의 통합된 가중치를 산출하였다(조만석·이용길·허성윤, 2016).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설문결과는 2022년 7월부터 9월까지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관내 기업사회공헌 담당자 72명의 일반적 현황은 아래와 표와 같다.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2. 기술통계분석 및 신뢰도 결과

각 지표 및 응답별 기술통계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조직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이해”지표(L1)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v1(문항)의 평균은 약 2.347(표준편차: 0.81), v2(문항)의의 평균은 약 2.028(표준편차: 0.95), v3(문항)의 평균은 약 2.153(표준편차: 0.78), v4(문항)의 평균은 약 2.486(표준편차: 0.71), v5(문항)의 평균은 약 2.333(표준편차: 0.8)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표의 신뢰도는 약 0.841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지표(L2)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v6(문항)의 평균은 약 2.278(표준편차: 0.77), v7(문항)의 평균은 약 2.264(표준편차: 0.79), v8(문항)의 평균은 약 2.111(표준편차: 0.7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지표의 신뢰도는 약 0.8213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지표(L3)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v9(문항)의 평균은 약 2.458(표준편차: 0.73), v10(문항)의평균은 약 2.264(표준편차: 0.73), v11(문항)의 평균은 약 2.292(표준편차: 0.8), v12(문항)의평균은 약 2.292(표준편차: 0.74), v13(문항)의 평균은 약 2.111(표준편차: 0.8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지표의 신뢰도는 약 0.897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지표(L4)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v14(문항)의 평균은 약 2.222(표준편차: 0.84), v15(문항)의 평균은 약 2.264(표준편차: 0.8), v16(문항)의 평균은 약 2.306(표준편차: 0.74), v17(문항)의 평균은 약 2.292(표준편차: 0.78), v18(문항)의 평균은 약 2.208(표준편차: 0.69), v19(문항)의 평균은 약 2.222(표준편차: 0.83), v20(문항)의 평균은 약 2.153(표준편차: 0.82)인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지표의 신뢰도는 약 0.887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공헌 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지표(L5)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v21(문항)의 평균은 약 2.278(표준편차: 0.77), v22(문항)의 평균은 약 2.153(표준편차: 0.82), v23(문항)의 평균은 약 2.167(표준편차: 0.82), v24(문항)의 평균은 약 2.181(표준편차: 0.78), v25(문항)의 평균은 약 2.139(표준편차: 0.7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지표의 신뢰도는 약 0.9359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 지표별 기술통계분석 결과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계속)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계속)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수준의 측정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은 아래 그림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 수준을 파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주로 활용되는 적합도 지수를 비교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비교를 위하여 수정지수(MI: Modification Indices)를 활용하였으며, 이론적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적정 수준에서의 하위 지표 간 상관관계를 허용하는 모형으로 수정하였다.

<그림 1>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이때 모형적합도 수준의 비교를 통하여 5개 하위 지표의 상관관계를 허용하는 모형으로 수정하였다.

  • - Chi-Square Test: 469.113(267)***
  • - RMSEA: .103 / SRMR: .063 / CFI: .853 / TLI: .83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비표준화계수)

해당 모형의 표준화계수는 아래와 같다. 분석을 통하여 추정된 표준화계수를 활용하여 하위 지표의 가중치를 부여, 각 상위 지표의 총점을 산출하는 데 활용된다. 각 표준화계수들을 살펴보면, 모든 추정치가 0.6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각 하위 지표가 상위 지표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표준화계수)

4. 타당도 수준 검토

각 지표의 집중타당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C.R.(Construct Reliability)값을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AVE는 0.5이상, C.R.은 0.7이상인 경우에 타당하다고 평가한다(우종필, 2013: 166).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지표의 AVE는 모두 0.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또한 0.7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각 지표들의 집중타당도 수준은 수용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또한 각 요인의 상관계수와 집중타당도 수준을 바탕으로 요인 간의 판별타당도 수준을 검토하였다. 판별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AVE값이 상관관계의 제곱보다 큰 경우, 상관계수 표준오차의 ±2배수 범위에 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평가한다(우종필, 2013: 170). 그러나 각 지표들 간의 판별타당도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아 각 지표들이 명확하게 구분된 개념을 측정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본 지표가 기업사회공헌활동의 개념을 다른 평가지표들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는 점, 기존에 타당도 수준이 확인된 지표를 수정· 활용하였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추정 결과에 따른 판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상위 지표의 타당도 수준 비교

5. 우선순위분석결과

지역사회 관련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각 상위 지표의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응답 결과의 일관성 수준을 검토, 허용가능한 수준에 포함되는 6개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분석 실시하였다. 평균 일관성 지수(CI)는 0.157(0.068 ~ 0.224)이고, 평균 일관성 비율(CR) 0.140(0.061 ~ 0.199)를 보였다. 우선순위분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분석 결과 “(L1)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해”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L2)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L3)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 ”(L5)사회공헌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 ”(L4)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중치의 산출평균을 기준으로 가중치의 합계가 1.0이 될 수 있도록 그 값을 표준화하여 활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표준화계수와 비교하면,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표준화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L1 > L4 > L2 > L5 > L3

“(L1)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해”의 우선순위는 각 분석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의 순위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설문조사 응답한 기업사회공헌담당자가 인식하는 상위 지표의 중요도와 지역사회 전문가가 인식하는 중요도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추정해볼 수 있다.

AHP분석 결과


Ⅴ. 결 론

기업사회공헌활동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사회공헌활동은 자선적 범위를 넘어 전략적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즉, 평가를 통해 기업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평가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지속성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나아가 대부분의 기업사회공헌활동이 지역을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지역에 최적화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S시에 최적화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2개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와 S시 사회복지시설 기관장을 대상으로 기업사회공헌활동 측정 지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기업사회공헌활동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관련 척도를 비교, 분석하여 신뢰도가 검증된 초기문항을 활용하였다. FGI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기업사회공헌활동의 구성 요인을 탐색하였으며, 이후 문항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와 문항에 대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였다. 둘째, 경기도 S시 기업사회공헌활동 수준의 측정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을 통해 적합 수준을 확인하였다. 각 표준화계수들을 살펴보면, 모든 추정치가 0.6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각 하위 지표가 상위 지표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각 지표의 집중타당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 C.R.(Construct Reliability)값을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AVE는 0.5이상, C.R.은 0.7이상인 경우에 타당하다고 평가하는데(우종필, 2013: 166), 모든 지표의 AVE는 모두 0.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R.또한 0.7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각 지표들의 집중타당도 수준은 수용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인의 상관계수와 집중타당도 수준을 바탕으로 요인 간의 판별타당도 수준을 검토하였다. 판별타당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AVE값이 상관관계의 제곱보다 큰 경우, 상관계수 표준오차의 ±2배수 범위에 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평가한다(우종필, 2013: 170).

넷째, 우선순위 분석 결과 “(L1)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해”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L2)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L3)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 ”(L5)사회공헌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 ”(L4)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설문조사 응답한 기업사회공헌담당자가 인식하는 상위 지표의 중요도와 지역사회 전문가가 인식하는 중요도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추정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사회공헌활동을 기획하는데 조직에서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공헌활동의 신뢰성 증진, 의사소통, 사회공헌활동 조직행동의 검토, 사회공헌 통합실천 순으로 우선순위를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지표를 토대로 경기도 S시의 기업사회공헌활동에 최적화된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기업사회공헌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사회공헌을 측정하는 지표가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사회공헌활동을 기획하고데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S시에 한정되는 평가지표이나, 지역성을 기반한 평가지표를 제시한 것은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지역사회의 모든 기업이 참여하여 문항개발이 이뤄지지는 않았기에 기업의 규모별로 측정할 항목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관련하여 사회공헌활동 측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문항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고재민(2005). “사회적 책임 활동도 성과 측정이 중요하다.”, 『LG주간경제』, 3-7.
  • 김지혜(2015). “기업사회공헌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ISO26000의 지침을 중심으로,『한국사회복지학』, 67(2), 5-31.
  • 사회복지공동모금회(2019). “2019 사회공헌 프로그램 평가지표 소개”,『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신지숙(2009).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삼성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사적 고찰.” ,『경영사학』, 24(2), 9-43.
  • 민재형(2015).『스마트 경영과학』, 서울: 생능.
  • 박정숙(2011). 『중소기업 사회공헌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K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종필(2013).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 윤상용·임상수·조윤형(2017).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전략 수립을 위한 평가체계 분석 연구”,『인적자원개발연구』, 20(3), 131-158.
  • 허성윤·조만석·이용길(2016). “계층분석법 (AHP) 을 이용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정책 구성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1(1), 29-69.
  • 조근태·조용곤·강현수(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 홍경준(2000). “민간기업의 지역사회복지 참여방안”,『한국지역사회복지학』, 8, 23-45.
  • 황정은·김윤태·이훈희(2013).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12(1), 139-175.
  • Saaty, T. L., & Vargas, L. G. (2001). “How to make a decision. In Models, methods, concepts &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ringer, Boston, MA. pp. 1-25 [https://doi.org/10.1007/978-1-4615-1665-1_1]
  • Schermelleh-Engel, K., Moosbrugger, H., & Muller, H. (2003). “Evaluating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tests of significance and descriptive goodness-of-fit measures.”,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8(2), 23-74.
김현숙 hskim2302@kangnam.ac.kr

2023년 강남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 사회공헌업무와 장애인복지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 관심분야는 기업사회공헌, 장애인복지, 복지기술 등이다. 최근 연구 실적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다감각 음악 실감 시스템 및 교육 솔루션 개발”, “약자와의 동행을 위한 스마트복지 정책과제 연구”, “고령장애인 정의 및 지원방향 연구”, “AI 기술의 서비스 적용을 위한 시각장애인 안내 로봇 개발 연구” 등에 다수 참여하였다.

이세형 lsh@shingu.ac.kr

2019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신구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한국사회복지학회 대외협력 위원을 맡고 있으며, 주요 연구실적으로 “강서구 종합사회복지관 효율성분석(2020)”, “아산시 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 운영 중장기 계획 수립연구(2022)”,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평가지표설계(2022)” , “장애인복지관 이용료 적정성 연구(2023)”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복지정책, 장애인복지, 기업사회공헌 등이다.

<그림 1>

<그림 1>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표 1>

ISO26000지침을 활용한 기업사회공헌 평가지표(김지혜, 2015)

요소 구체적 내용
조직특성과 사회공헌 활동의 연관성 • 사회공헌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공개된(홈페이지, 백서 등) 중장기 비전과 추진계획을 갖고 있는가?
• 사회공헌에 대한 조직의 의지표명을 반영하는 전략, 목적 및 목표가 개발되어 있는가?
• 사회공헌의 전략이 경영전략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가?
• 사회공헌전략이 정기적으로 주요 경영회의 안건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 사회공헌을 위한 전담인력이 충분한가?
• 사회공헌 전담부서는 사회공헌활동 관련 전문성을 갖고 있는가?
조직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이해 •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사회공헌활동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는가?
• 최고경영진에서부터 사회공헌 담당부서에 이르기까지 조직의 관련성과 중대성에 대하여 공감대를 잘 형성하고 있는가?
• 임직원들이 사회공헌활동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는가?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 이해관계자(파트너기관, 소비자 등)와 양방향 의사소통 프로세스가 수립 되어 있는가?
• 사회공헌 이해관계자 및 협력 파트너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가?
• 사회공헌활동 내용과 성과에 대한 내부 홍보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가?
• 사회공헌활동 내용과 성과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가?
• 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하여 부서간에(또는 본사와 사업장간의) 긴밀한 협조와 소통체계가 마련되어 있는가?
• 직원, 파트너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의 전략 및 정책개발에 참여하고 있는가?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 • 파트너기관이나 지원기관(또는 지원대상) 선정 기준과 결과를 공개하는가?
• 사회공헌위원회 등 사회공헌관련 운영체계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가?
• 사회공헌관련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충분히 받고 있는가?
•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등을 통해 사회공헌관련 예산과 집행내역을 외부에 충분히 공개하는가?
사회공헌 활동 관련 조직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 • 조직의 사회공헌활동 성과를 지속적이고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가?
• 사회공헌관련 성과를 평가하는 자체적인 표준과 기준이 있는가?
• 사회공헌 성과평가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 성과개선을 위해 평가 결과가 활용되고 있는가?
• 사회공헌 성과관리를 위한 역할과 책임이 잘 규정되어 있는가?
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 • 기부, 자원봉사 등 직원참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가?
• 회사차원에서 직원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지원이 적절하게 되고 있는가?
• 임직원들의 사회공헌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가?
• 사회공헌관련(자원봉사 등) 직원교육은 충분히 실시되고 있는가?
• 사회공헌활동에 고객,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활발한가?
• 사회공헌관련 예산이 매년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집행되고 있는가?
• 사회공헌담당자는 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가치, 방향, 규모, 내용 등) 만족하는가?
• 우리회사의 사회공헌활동은 사회문제해결 등 사회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생각하는가?

<표 2>

평가지표 구성 과정

구분 내용
문헌 검토 • 기업사회공헌 관련 각종 평가지표에 대한 검토
• 기업사회공헌 관련 척도의 구성, 내용 등의 유사점 및 방향성 등 검토
• 지표구성의 충분성과 간결성 등을 고려하여 문항 설정
문항 구성 검토 • 평가의 목적 및 방향성에 기반을 둔 문항 초안 작성
• S시 사회복지관련 기관장 6인의 검토의견 수렴
문항 수정 • S시 관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해당 문항의 수정
•   관내 대학 교수 1인과 관외 연구교수 1인의 회의를 통하여 문항의 내용과 문항별 점수구분 내용 등을 수정
문항 2차 검토 • 수정된 문항에 대한 2차 검토의견 수렴
• S시 사회복지관련 기관장 6인의 검토의견 수렴(1차 검토 집단과 동일)

[FGI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시범 조사 수행 • 관내 기업사회공헌 담당자 72인 대상 온라인 설문 진행
자료 분석 • 응답 데이터를 통한 확인적 요인 분석 수행
• 상위개념 간 우선순위 분석 수행
• 문항별 가중치에 따른 최종 결과 확인

[FGI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참여자 성별 연령 기관 근무경력
참여자 1 남성 50대 종합사회복지관 21년 4개월
참여자 2 남성 40대 장애인복지관 23년 6개월
참여자 3 남성 50대 노인복지관 24년 3개월
참여자 4 여성 50대 노인복지관 22년 3개월
참여자 5 여성 50대 종합사회복지관 25년 1개월
참여자 6 남성 40대 S시사회복지협의회 21년

<표 3>

기업사회공헌활동 지표 세부 문항 및 배점

조직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이해(L1) 세부문항 및 배점
[v1] 사회공헌을 위한 전담인력이 충분히 배치되어 있는가
(3점) 사회공헌 전담조직 및 인력이 상시 기능을 하고 있음
(2점) 사회공헌 전담 인력이 상시 배치되어 있음
(1점) 사회공헌 전담 조직 및 인력이 비상시적으로 기능하고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의 전담 인력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
[v2] 사회공헌 전담부서 및 인력은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 전담 조직 내 전 인력이 사회공헌 관련 전공 또는 관련 업무 경험을 3년 이상 가지고 있음
(2점) 사회공헌 전담 조직 내 인력 일부가 사회공헌 관련 전공 또는 관련 업무 경험을 3년 이상 가지고 있음
(1점) 사회공헌 전담 조직 내 인력 중 관련 업무 경험을 3년 이상 가진 구성원이 있음
(0점) 사회공헌 전담 조직 내 전 인력이 사회공헌 관련 전공 또는 관련 업무 경험을 3년 이상 가지고 있지 않음
[v3] 기업 사회공헌 관련 예산이 매년 안정적으로 확보되고 집행되는가
(3점) 기업의 총 매출액 대비 0.2%이상 사회공헌활동에 지속적으로 지출하고 있음
(2점) 기업의 총 매출액 대비 0.2%미만 사회공헌활동에 지속적으로 지출하고 있음
(1점) 특정 활동에 한정하여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예산이 지속적으로 확보되고 있음
(0점)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예산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음
[v4] 사회공헌의 전략과 기업의 경영 전략 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가
(3점) 기업의 경영 전략과 실천과제에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2점) 기업의 경영 전략에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
(1점) 기업의 경영 전략의 내용에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내용이 일부 내포되어 있음
(0점) 기업의 경영 전략에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v5] 사회공헌과 관련된 전략이 주요 경영회의의 안건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 관련 경영전략이 주요 경영회의의 안건으로서 정기적으로 상정됨
(2점) 사회공헌 관련 경영전략이 주요 경영회의의 안건으로서 비정기적으로 상정됨
(1점) 사회공헌 관련 경영전략이 주요 경영회의의 내용으로 논의되고 있음
(0점) 사회공헌 관련 경영전략이 주요 경영회의에 논의되지 않음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L2) 세부 문항 및 배점
[v6] 사회공헌과 관련하여 중장기 비전과 추진계획을 공지하고 있는가(홈페이지, 백서 등)
(3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모든 계획 및 내용이 공지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한 비전과 계획이 공지되어 있음
(1점) 기업의 비전 및 계획에 사회공헌 관련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모든 계획 및 내용이 공지되어 있지 않음
[v7] 사회공헌활동 관련 예산과 집행내역이 외부에 공개되는가
(3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모든 계획 및 내용이 공지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한 비전과 계획이 공지되어 있음
(1점) 기업의 비전 및 계획에 사회공헌 관련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모든 계획 및 내용이 공지되어 있지 않음
[v8] 협력기관, 지원기관 및 대상에 대한 선정 기준이 공개되는가
(3점) 사회공헌 협력기관의 선정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기준은 외부에 공개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 협력기관의 선정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나 해당 기준이 외부에 공개되지는 않음
(1점) 사회공헌 협력기관의 선정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협력기관 목록은 외부에 공개되어 있음
(0점) 사회공헌 협력기관과 관련된 정보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지 않음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L3) 세부 문항 및 배점
[v9]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체계가 있는가
(3점)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체계가 있음
(2점)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을 수시로 제시할 수 있음
(1점)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을 제한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0점)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체계가 있지 않음
[v10] 사회공헌 활동에 고객,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활발한가
(3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계획 수립 시 지역주민과 고객의 참여를 필수적으로 고려함
(2점) 사회공헌 활동 중 일부의 경우에 고객과 지역주민의 참여를 검토함
(1점) 일시적으로 고객과 지역주민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한 바가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에 고객,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v11]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사회공헌활동의 전략 수립에 참여하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의 계획을 수립할 때 직원, 협력기관,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함
(2점) 사회공헌활동의 계획을 수립할 때 직원과 협력기관의 의견을 수렴함
(1점) 사회공헌활동의 계획을 수립할 때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함
(0점) 사회공헌활동의 계획을 수립할 때 해당 업무 담당자 및 임원진의 의견만이 제한적으로 반영됨
[v12] 협력기관, 지원기관 및 대상과의 관계 유지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 협력기관 및 지원대상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위한 공식적 · 정기적 활동이 계획됨
(2점) 사회공헌활동 협력기관 및 지원대상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위한 공식적 활동이 비정기적으로 계획됨
(1점) 사회공헌활동 협력기관 및 지원대상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정기적인 활동을 추진함
(0점) 사회공헌활동 협력기관 및 지원대상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활동이 추진되지 않음
[v13] 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하여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정기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외부전문가의 자문이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의 신설 및 변경 상황에서 전문가자문을 받은 경우가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지 않음
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L4) 세부 문항 및 배점
[v14] 기부, 자원봉사 등에 대한 직원의 참여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가
(3점) 직원의 60%이상이 지속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2점) 직원의 30%이상이 지속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1점) 직원의 60%이상이 일시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0점) 직원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v15] 기업 차원에서 직원의 사회공헌활동(자원봉사 포함)을 지원하고 있는가
(3점) 직원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고 있음
(2점) 직원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비정기적으로 부여하고 있음
(1점) 직원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일시적으로 부여한 바가 있음
(0점) 직원의 사회공헌활동을 지원하는 제도 및 사례가 없음
[v16] 사회공헌활동에 대하여 직원 간, 부서 간 협조체계가 마련되어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직원 간, 부서 간 협조체계가 공식화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직원 간, 부서 간 협조체계가 비공식적으로 기능함
(1점) 사회공헌활동 추진 시 일시적으로 직원 간, 부서 간 협조가 이루어짐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직원 간, 부서 간 협조체계가 마련되지 않음
[v17]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내부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의 운영 계획과 결과가 사내에서 정기적으로 홍보되고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의 운영 계획과 결과가 사내에서 비정기적으로 홍보되고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의 운영 계획에 대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홍보되고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의 시행할 때에 제한적으로 내부 홍보를 실시한음
[v18]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외부 홍보 및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의 운영 계획과 성과가 외부에 정기적으로 홍보되고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의 운영 계획과 성과가 외부에 비정기적으로 홍보되고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의 활동 이후 운영 성과가 외부에 홍보되고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의 활동 이후 운영 성과가 때때로 외부에 홍보되고 있음
[v19] 직원 대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가 수행되고 있는가
(3점) 직원 대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만족도 조사가 사회공헌활동 계획에 항상 포함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 이후 직원 대상의 만족도 조사가 수시로 진행되고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 이후 직원 대상의 만족도 조사가 때때로 진행되고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 이후 직원 대상의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음
[v20] 사회공헌활동(자원봉사 포함)에 대한 직원 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교육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교육이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1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교육이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0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사회공헌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L5) 세부 문항 및 배점
[v21]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가 추진계획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가 추진계획에 근거하여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 이후 비정기적으로 평가가 이루어짐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음
[v22]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성과의 기준과 목표치가 설정되었는가
(3점) 모든 사회공헌활동 계획 수립 시에 추진성과의 기준과 목표치가 설정됨
(2점) 일부 사회공헌활동 계획 수립 시에 추진성과의 기준과 목표치가 설정됨
(1점)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는 경우 활동에 대한 목표를 일시적으로 설정함
(0점) 사회공헌활동 계획 수립 시에 추진성과의 기준과 목표치가 설정되지 않음
[v23] 사회공헌 성과관리의 체계가 존재하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 성과관리 체계 내에 전담부서 및 인력의 역할과 책임이 설정되어 있음
(2점) 사회공헌활동 성과관리와 관련된 전담부서 및 인력의 역할이 업무내용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1점) 사회공헌활동 성과관리와 관련된 전담부서 및 인력의 역할이 업무내용에 비공식적으로 포함되어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 성과관리와 관련된 전담부서 및 인력의 역할이 불명확함
[v24]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갖추었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기업 내 · 외부의 긍정적 효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함
(2점) 사회공헌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기업 내 · 외부의 긍정적 효과를 비정기적으로 관리함
(1점) 사회공헌활동으로 인하여 기업 내 · 외부의 효과가 발생할 경우 이를 활용함
(0점) 사회공헌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기업 내 · 외부의 효과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음
[v25]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가 기업운영에 활용되는가
(3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가 기업운영에 직접적으로 활용됨
(2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가 기업운영에 간접적으로 활용됨
(1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가 기업운영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경우가 있음
(0점)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가 기업운영에 활용되지 않음

<표 4>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구분 응답 N(%)
응답자의 직위(직급) 수준 무응답 3(4.2)
실무자급 39(54.2)
관리자급 20(27.8)
임원급 10(13.9)
기업의 산업분류 C. 제조업 22(30.6)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16(22.2)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1(1.4)
F. 건설업 4(5.6)
G. 도매 및 소매업 1(1.4)
J. 정보통신업 4(5.6)
K. 금융 및 보험업 2(2.8)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13.9)
N.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1(1.4)
O.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2.8)
P. 교육 서비스업 3(4.2)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2.8)
사회공헌활동 관련 업무 종사 경력 무응답 3(4.2)
1년 미만 7(9.7)
1년 이상 3년 미만 25(34.7)
3년 이상 5년 미만 23(31.9)
5년 이상 14(19.4)

<표 5>

세부 지표별 기술통계분석 결과

하위지표 mean sd min max skewness kurtosis 신뢰도
L1 v1 2.347 0.81 0 3 -1.35 4.64 0.8412
v2 2.028 0.95 0 3 -0.85 2.91
v3 2.153 0.78 0 3 -0.45 2.31
v4 2.486 0.71 0 3 -1.48 5.30
v5 2.333 0.80 0 3 -1.32 4.60
L2 v6 2.278 0.77 0 3 -1.07 4.11 0.8213
v7 2.264 0.79 0 3 -1.02 3.85
v8 2.111 0.78 0 3 -0.73 3.40
L3 v9 2.458 0.73 0 3 -1.38 4.81 0.8972
v10 2.264 0.73 0 3 -1.10 4.73
v11 2.292 0.80 0 3 -1.24 4.54
v12 2.292 0.74 0 3 -0.94 3.81
v13 2.111 0.83 0 3 -0.80 3.25
L4 v14 2.222 0.84 0 3 -0.86 3.03 0.8870
v15 2.264 0.80 0 3 -1.00 3.62
v16 2.306 0.74 0 3 -1.17 4.71
v17 2.292 0.78 0 3 -0.92 3.37
v18 2.208 0.69 0 3 -0.55 3.18
v19 2.222 0.83 0 3 -0.88 3.21
v20 2.153 0.82 0 3 -0.75 3.09
L5 v21 2.278 0.77 0 3 -1.07 4.11 0.9359
v22 2.153 0.82 0 3 -0.91 3.59
v23 2.167 0.82 0 3 -0.93 3.57
v24 2.181 0.78 0 3 -1.05 4.33
v25 2.139 0.77 0 3 -0.97 4.16

<표 6>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계속)

v1 v2 v3 v4 v5 v6 v7 v8
v1 1
v2 0.612*** 1
v3 0.517*** 0.431*** 1
v4 0.584*** 0.459*** 0.498*** 1
v5 0.599*** 0.412*** 0.523*** 0.598*** 1
v6 0.633*** 0.508*** 0.535*** 0.749*** 0.641*** 1
v7 0.518*** 0.424*** 0.460*** 0.572*** 0.526*** 0.618*** 1
v8 0.564*** 0.586*** 0.596*** 0.612*** 0.569*** 0.720*** 0.480*** 1
v9 0.610*** 0.571*** 0.567*** 0.649*** 0.527*** 0.669*** 0.522*** 0.602***
v10 0.558*** 0.598*** 0.520*** 0.616*** 0.518*** 0.690*** 0.464*** 0.664***
v11 0.520*** 0.568*** 0.494*** 0.493*** 0.374** 0.622*** 0.528*** 0.674***
v12 0.488*** 0.490*** 0.677*** 0.529*** 0.544*** 0.620*** 0.495*** 0.651***
v13 0.592*** 0.674*** 0.624*** 0.621*** 0.659*** 0.696*** 0.449*** 0.741***
v14 0.568*** 0.415*** 0.354** 0.451*** 0.263* 0.466*** 0.335** 0.541***
v15 0.594*** 0.580*** 0.428*** 0.560*** 0.471*** 0.560*** 0.355** 0.604***
v16 0.641*** 0.447*** 0.525*** 0.700*** 0.533*** 0.659*** 0.486*** 0.621***
v17 0.442*** 0.256* 0.413*** 0.529*** 0.585*** 0.567*** 0.448*** 0.457***
v18 0.550*** 0.335** 0.488*** 0.650*** 0.507*** 0.655*** 0.597*** 0.532***
v19 0.579*** 0.621*** 0.492*** 0.484*** 0.523*** 0.564*** 0.255* 0.639***
v20 0.538*** 0.649*** 0.427*** 0.500*** 0.479*** 0.490*** 0.309** 0.659***
v21 0.700*** 0.565*** 0.512*** 0.621*** 0.596*** 0.647*** 0.480*** 0.626***
v22 0.623*** 0.467*** 0.449*** 0.646*** 0.543*** 0.735*** 0.484*** 0.615***
v23 0.739*** 0.626*** 0.486*** 0.630*** 0.553*** 0.613*** 0.475*** 0.542***
v24 0.708*** 0.548*** 0.559*** 0.732*** 0.625*** 0.785*** 0.636*** 0.619***
v25 0.687*** 0.589*** 0.500*** 0.719*** 0.580*** 0.664*** 0.517*** 0.651***

<표 7>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계속)

v9 v10 v11 v12 v13 v14 v15 v16
v9 1
v10 0.667*** 1
v11 0.713*** 0.641*** 1
v12 0.531*** 0.689*** 0.643*** 1
v13 0.657*** 0.669*** 0.568*** 0.610*** 1
v14 0.381*** 0.612*** 0.469*** 0.482*** 0.446*** 1
v15 0.534*** 0.526*** 0.384*** 0.437*** 0.482*** 0.556*** 1
v16 0.594*** 0.678*** 0.562*** 0.629*** 0.559*** 0.632*** 0.593*** 1
v17 0.481*** 0.482*** 0.499*** 0.585*** 0.450*** 0.437*** 0.528*** 0.526***
v18 0.506*** 0.531*** 0.529*** 0.623*** 0.474*** 0.597*** 0.533*** 0.724***
v19 0.529*** 0.531*** 0.565*** 0.515*** 0.579*** 0.393*** 0.589*** 0.530***
v20 0.471*** 0.545*** 0.473*** 0.578*** 0.597*** 0.441*** 0.710*** 0.502***
v21 0.569*** 0.666*** 0.600*** 0.546*** 0.587*** 0.596*** 0.627*** 0.732***
v22 0.708*** 0.663*** 0.625*** 0.601*** 0.535*** 0.625*** 0.645*** 0.687***
v23 0.575*** 0.605*** 0.485*** 0.498*** 0.549*** 0.454*** 0.614*** 0.676***
v24 0.648*** 0.610*** 0.553*** 0.570*** 0.602*** 0.520*** 0.668*** 0.734***
v25 0.608*** 0.581*** 0.459*** 0.493*** 0.610*** 0.534*** 0.731*** 0.781***

<표 8>

세부지표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v17 v18 v19 v20 v21 v22 v23 v24
v17 1
v18 0.699*** 1
v19 0.315** 0.411*** 1
v20 0.462*** 0.392*** 0.638*** 1
v21 0.473*** 0.602*** 0.674*** 0.646*** 1
v22 0.639*** 0.717*** 0.576*** 0.556*** 0.713*** 1
v23 0.452*** 0.533*** 0.588*** 0.612*** 0.724*** 0.570*** 1
v24 0.543*** 0.718*** 0.574*** 0.624*** 0.832*** 0.757*** 0.770*** 1
v25 0.470*** 0.682*** 0.611*** 0.656*** 0.781*** 0.723*** 0.759*** 0.849***

<표 9>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비표준화계수)

변수명 비표준화계수 표준오차 비표준화계수 ÷ 표준오차 P-value
L1 v1 1.000 - - -
v2 1.018 0.101 10.119 0.000
v3 0.818 0.079 10.36 0.000
v4 0.880 0.135 6.511 0.000
v5 0.901 0.159 5.676 0.000
L2 v6 1.000 - - -
v7 0.768 0.128 6.013 0.000
v8 0.953 0.052 18.329 0.000
L3 v9 1.000 - - -
v10 1.036 0.118 8.767 0.000
v11 1.042 0.139 7.473 0.000
v12 0.969 0.113 8.587 0.000
v13 1.135 0.157 7.237 0.000
L4 v14 1.000 - - -
v15 1.093 0.198 5.517 0.000
v16 1.094 0.218 5.028 0.000
v17 0.911 0.293 3.113 0.002
v18 0.941 0.172 5.458 0.000
v19 1.028 0.216 4.763 0.000
v20 1.041 0.18 5.774 0.000
L5 v21 1.000 - - -
v22 0.982 0.087 11.251 0.000
v23 0.989 0.101 9.8 0.000
v24 1.068 0.079 13.53 0.000
v25 1.027 0.079 13.064 0.000
전체 L1 1.000 - - -
L2 1.023 0.115 8.861 0.000
L3 0.866 0.11 7.863 0.000
L4 0.860 0.181 4.766 0.000
L5 1.007 0.114 8.807 0.000
상관관계 v4 v6 0.049 0.026 1.856 0.063
v16 0.037 0.023 1.573 0.116
v1 v21 0.019 0.024 0.796 0.426

<표 10>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표준화계수)

변수명 표준화계수 표준오차 비표준화계수 ÷ 표준오차 P-value
L1 v1 0.789 0.069 11.388 0.000
v2 0.683 0.084 8.151 0.000
v3 0.667 0.079 8.499 0.000
v4 0.787 0.067 11.698 0.000
v5 0.713 0.109 6.544 0.000
L2 v6 0.871 0.046 19.011 0.000
v7 0.657 0.11 6 0.000
v8 0.823 0.056 14.708 0.000
L3 v9 0.808 0.058 13.945 0.000
v10 0.836 0.058 14.325 0.000
v11 0.773 0.071 10.82 0.000
v12 0.773 0.068 11.326 0.000
v13 0.805 0.045 18 0.000
L4 v14 0.669 0.103 6.504 0.000
v15 0.766 0.085 9.004 0.000
v16 0.829 0.054 15.25 0.000
v17 0.661 0.122 5.41 0.000
v18 0.768 0.067 11.456 0.000
v19 0.702 0.08 8.811 0.000
v20 0.719 0.093 7.718 0.000
L5 v21 0.879 0.039 22.601 0.000
v22 0.815 0.062 13.17 0.000
v23 0.816 0.061 13.395 0.000
v24 0.935 0.027 34.958 0.000
v25 0.899 0.037 24.428 0.000
전체 L1 0.997 0.021 47.141 0.000
L2 0.965 0.035 27.271 0.000
L3 0.933 0.044 21.301 0.000
L4 0.970 0.028 34.873 0.000
L5 0.943 0.027 34.651 0.000
상관관계 v4 v6 0.299 0.141 2.115 0.034
v16 0.204 0.121 1.684 0.092
v1 v21 0.106 0.134 0.793 0.428

<표 11>

상위 지표의 타당도 수준 비교

L1 L2 L3 L4 L5 AVE CR
L1 1 - - - - 0.532 0.850
L2 0.966 1 - - - 0.623 0.830
L3 0.962 0.976 1 - - 0.639 0.898
L4 0.948 0.908 0.894 1 - 0.566 0.912
L5 0.949 0.886 0.822 0.968 1 0.757 0.940

<표 12>

AHP분석 결과

범주명 중요도 우선순위
산술평균 표준화
L1 조직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해 .788 .382 1
L2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신뢰성 증진 .502 .243 2
L3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의사소통 .270 .131 3
L4 조직 내 사회공헌 통합을 위한 실천 .241 .117 5
L5 사회공헌 활동 관련 조직 행동과 관행의 검토 및 개선 .263 .12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