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출연기관의 ESG 경영 특성 분석:경기도 K 재단을 중심으로
초록
최근 기후위기 및 인권, 안전,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ESG 도입 및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K-ESG 가이드라인 및 지표를 활용하여 경기도 K재단의 경영평가 보고서 및 클린아이 정보공시 등의 내용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 출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집중해야 할 영역 및 보완해야 할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해당 기관의 특성에 맞는 ESG 지표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환경(E)영역에서는 환경경영 목표 설정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은 수립되어 있으나, 실행은 단기적인 성과에 국한되고 있어 계획 대비 실행체계의 불일치성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ESG 가이드라인의 지표 중 일부는 경기도 K재단의 기능 및 역할 수행과 연계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둘째, 사회(S)영역에서는 경기도 K재단의 설립목적 및 주요 기능 등을 고려할 때 법·규제 등을 준수해야 할 공공기관이므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부적인 구성원에 대한 관리 계획 및 성과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K-ESG 가이드라인 기준 중 동반성장 관련 부분은 경기도 K재단의 역할과 연계하여 수정·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K재단은 경기도의 출자방식으로 운영되는 공익성을 전제로 하는 공공기관으로 지배구조(G)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부 구성원의 권익을 증진하고 단체교섭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노동조합이 부재하여 향후 노동조합 설립 기반 등에 대한 내부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공시(P)는 공공기관 정보공시 등의 지침 등을 준수하여 우수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기관의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ESG 진단 지표의 항목에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출자·출연기관의 ESG 실행 수준에 대한 면밀한 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nxiety about sustainable future has risen due to importance of risks related with climate-environment, human right, and safety is strengthened, resulting in acceleration of discussions on ESG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ESG management characteristics using the K Foundation as an example.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nvironmental (E) area, environmental management goals and mid- to long-term plans are established, but the implementation is only short-term, and there is some inconsistency in the implementation system compared to the plan. Second, the social (S) area was high because it is a public institution that must comply with the law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major functions of the K Foundation in Gyeonggi-do. Third, the Gyeonggi-do K Foundation is a public institution based on public interests operated by Gyeonggi-do's funding method and has maintained above average in terms of governance (G). Finall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disclosure (P) was presented in an excellent manner by complying with the guidelines such as information disclosure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future, ESG diagnostic indicators that can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should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so that the level of ESG execution of investment and funding institutions can be closely diagnosed.
Keywords:
Sustainable management, ESG, ESG indexes, local funding institute, environmental management키워드:
지속가능경영, ESG지수, 지방출자출연기관, 환경경영Ⅰ. 서 론
최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ESG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민간영역을 넘어 공공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ESG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가장 크게는 환경파괴, 자원의 한정성에 비례한 고갈 수준의 증대, 빈부격차의 확대 등 사회·환경·경제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ESG와 같은 사회적 가치창출의 활동이 재무성과뿐만 아니라 기업경쟁력 향상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규명되면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음이 주된 이유라고 볼 수 있다(Visser & Kymal, 2015; 노용희·강승모·백자경, 2023).
공공영역의 ESG 적용에 대한 논의는 2021년 각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시행되는 지속가능 정책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ESG 인프라 확충 등 관련 방안을 도출한 관련부처합동 정책의 발표 시점부터 본격화 되었다(기획재정부, 2022).
이와 관련하여 중앙정부는 지속가능성장의 기반 확충을 위해 공공기관의 ESG 공시 확대 및 실행계획·전략을 수립하고, 경영평가 등을 통해 검증하는 절차를 정립하였다(김지연, 2022). 특히, 지방의 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의 경우 윤리경영, 지역상생 발전 등의 평가 배점을 강화하여 해당 분야 및 지역사회에서 공공기관의 역할론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김지연, 2022).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은 비영리 조직의 성격이 강하지만, 최근 지속가능경영 및 성장에 대한 지속적 요구로 인하여 ESG 관련 경영전략의 도입을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을 둘러싼 ESG 관련 변화는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으며, 경영평가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적용·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속가능 및 재정 자주성 등 성장, ESG 경영 도입을 위한 높은 요구도에 비해 ESG 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평가항목 및 지표 등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 차원의 실무적인 검토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지속가능 성장과 관련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는 ESG 경영전략 및 기준을 적용하여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경영 특징과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 중 ‘경기도민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공익적 목적으로 설립되어,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정책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연구와 사업 등을 병행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K재단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하고자 한다.
경기도 K재단의 ESG 경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K-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K-ESG 가이드라인은 국가단위에서 설정·공시된 측정항목 및 지표 체계를 갖추고 있으므로, 지표에 대한 공신력 및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며, 민간 및 공공기관에 적용·활용되고 있어 활용성 또한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ESG 평가항목 및 지표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검토 등을 통해 향후 ESG 경영 및 지방자치단체 경영평가 시 ESG 지표 설정 및 활용, 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ESG의 개념 및 정의
ESG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이르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ESG의 출발은 1980년대 후반 지속가능발전 혹은 지속가능성장의 가치의 연속성에서 논의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ESG는 미래세대의 지분과 현시대의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가치 실현을 위해 조직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 접근하게 되면서 등장하였다(KRX ESG 포털, https://esg.krx.co.kr 2023년 9월 5일 검색). 이러한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1987년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발간한 보고서 발간 시점부터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라는 개념을 거쳐, 오늘날의 ESG 용어가 조직성장 및 운영 전략으로 정착하게 되었다(KRX ESG 포털, https://esg.krx.co.kr 2023년 9월 5일 검색).
ESG에 대한 개념은 다양한 주체에 의해 정의되고 있는데, 한국거래소(2021)는 “기업의 전략을 실행하고, 가치를 높이기 위한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에 관한 요소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MSCI는 “ESG 투자는 지속가능한 투자, 사회적 책임 투자, 미션 관련 투자, 스크링과 동의어로 자주 사용되는 용어”라고 정의하고 있다(MSCI 홈페이지, https://www.msci.com). ROBECO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요소들을 활용하여 기업과 국가가 지속성정 관점에서 얼마나 발전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ROBECO 홈페이지, https://www.robeco.com), 이은선·최유경(2021)는 “ESG는 “조직의 전략을 실행하고, 조직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에 관한 요소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이은선·최유경, 2021).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ESG는 다양한 주체가 조직에 대한 비재무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체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포괄하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공공기관 ESG관련 평가 체계 및 지표
중앙정부는 지속가능성장 기반 확충을 위해 공공기관의 ESG 공시확대, ESG 실행계획 수립 및 평가를 통해 ESG 경영의 의무화를 진행하고자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의 윤리경영 등 사회적 가치 구현 관련 배점 비중을 확대하였다(기획재정부, 2022). 2023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ESG 요소는 전략기획 및 혁신, 소통 평가 영역에 일부 반영되어 있으며, 사회적가치 창출 지표에 일자리 창출, 균등한 기회와 통합, 안전 및 환경, 상생·협력 및 지역발전, 윤리경영 평가 영역에 반영되어 있다(기획재정부, 2022) 각 지표영역별 ESG 관련 세부 지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는 ESG 경영원칙 등 사회적 역할과 책임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특히, ESG 실행계획 등 ESG 경영실천 노력과 경영평가를 통해 경영층의 리더십, 전략경영 등 ESG 실천 관련 노력을 반영하고자 하였고, 일자리 확대, 소통·참여, 윤리경영, 지역상생발전 등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ESG 관리 목록을 세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기도 공공기관 평가는 ESG 사회적 가치 실현 및 지속가능경영 확대를 위한 ESG 평가 확대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경기도, 2022). 다만, 현재 경기도 공공기관 평가는 공공기관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와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 공공기관 ESG 관련지표는 사회적 가치부문의 일자리 확대, 소통 및 참여, 윤리경영, 인권경영, 시설·안전관리, 지역상생발전과 외부고객만족도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기관 ESG 평가지표를 살펴본 결과, 중앙정부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ESG 및 친환경 관련 계획수립,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상생 등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비슷한 경향의 평가체계 및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ESG 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공공기관 지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영평가 지표체계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3. 선행연구고찰
최근 출자·출연기관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김지연(2022)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을 대상으로 K-ESG 가이드라인 지표를 활용하여 ESG 경영 추진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ESG 평가항목별 범주화를 통해 지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출자·출연기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김지연, 2022). 강동헌·배창현·이현경(2023)은 강원도 내 3개의 출자·출연기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의 실천 수준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ESG 지표의 활용은 경영성과 항목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ESG 관련 요소의 반영 수준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자·출연 기관의 특성상 제시된 ESG 요소들은 사회, 지배구조 측면의 수행은 긍정적이었으나, 환경 측면의 수행은 경영평가 지표에 명확하게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강동헌·배창현·이현경, 2023). 황은진·조상미·안지영(2022)는 공공기관의 ESG 활동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의 ESG 활동은 조직의 재무, 고유목적사업, 혁신성과 정(+)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십과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ESG와 조직성과 간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ESG 경영과 다차원적인 조직성과 간의 연구에서 인적자원역량이 ESG 경영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은진·조상미·안지영, 2022). 황수덕·김희범·이영재(2022)는 K-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공공기관 ESG 경영을 위한 평가체계 및 지표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 경영평가와 경영공시 항목관련 ESG 진단항목의 확대,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ESG 경영추가 항목 보완, 공공기관 ESG 평가에 대한 결과 공시의 의무화 등을 제안하였다(황수덕·김희범·이영재, 2022). 손수득·김용덕·이성기(2021)는 KOTRA를 분석대상으로 ESG 추진 및 실행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ESG 추진 현황에 대한 지배구조, 안전경영체계 구축, 설립목적과 특성에 부합하는 ESG 대응 전략 수립을 통해 ESG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손수득·김용덕·이성기, 2021). 정명재(2022)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을 대상으로 ESG 도입 필요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 운영재원 기반의 취약성, 안정적 경영보장의 약화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한으로 ESG 기반의 경영체계 및 전략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정명재, 2022). 한동숙(2021)는 공공기관의 ESG 도입을 위해 국내·외 현황 및 ESG 관련 체계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공공기관에서 ESG 도입을 위해서는 ①공시제도 및 평가제도의 체계화, ②공공기관의 대응력 제고, ③ESG 추진에 따른 인프라와 인센티브 도입 등의 선결사항 등을 제시하였다(한동숙, 2021).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출자·출연기관의 설립목적이 공익성 및 사회적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이를 조직 내 정착시키고, 경영 및 실천전략과의 유기적 연계를 촉진하기 위하여 ESG의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경영평가, 경영공시 등을 위하여 ESG 도입이 의무화되고 있다. 둘째, 조직의 특성을 고려할 때, ESG 전략 등의 적절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출자·출연기관의 ESG 적용에 대한 실증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볼 때, ESG를 도입한 기관들의 효과성 등에 대한 고려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해석할 수 있다.
Ⅲ. ESG 평가 사례분석
1. 진단기준
지방출자·출연기관은 비영리 성격이 강한 조직이지만, 대내·외적으로 공익성, 민주성 등 사회적 가치와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한 경영전략이 요구되며, 이에 더하여 지속가능성이라는 요소도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기도 출자·출연기관인 ‘경기도 K재단’은 설립목적을 충실하게 이행하여 왔지만, 외부 환경 및 지방 출자·출연기관을 바라보는 시각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하여 ESG를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의무가 부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경기도 K재단’의 ESG 반영요소를 점검하여 개선사항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립된 K-ESG 가이드라인 지표를 활용하여 점검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K-ESG 가이드라인은 국제적인 ESG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국내 상황을 고려한 ESG 요소 제시, 산업 전반에 걸친 범용적 가이드라인으로 경영평가, 경영공시를 중심으로 ESG 수준을 살펴보기 위한 기준으로 적절하다.
K-ESG 가이드라인의 평가체계는 정보공시, 환경, 사회, 지배구조 4개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정보공시 5개 항목, 환경 17개 항목, 사회 22개 항목, 지배구조 17개 항목 등 4개 영역 27개 범주, 61개 진단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21). 세부적인 K-ESG 가이드라인의 평가체계 및 세부 진단항목은 다음 <표 6>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분석방법은 K-ESG 가이드라인의 진단항목을 기본으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 K 재단’을 대상으로 주요항목과 중점 관리사항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인 ‘경기도 K재단’은 2007년 도민의 다양한 복지수요에 부응하고, 복지서비스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사업의 추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연구 및 사업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ESG 관련 지표의 적용범위가 넓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기도 K재단의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경영평가 실적보고서 및 경영공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2. 분석내용
경기도 K재단은 「경기도 K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근거하여 설립된 경기도 출자·출연기관이다. 경기도 K재단의 설립목적은 도민의 복지수요에 부응하고, 복지서비스의 전문성을 증진하여 도민에게 내실있는 복지서비스 제공에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①복지정책 조사·연구 및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②사회복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훈련, ③사회복지자원 연계·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지원, ④사회복지시설 평가·인증·컨설팅, ⑤사회복지단체 보조금 지원기준 연구 및 사업평가, ⑥경기도지사 또는 시장·군수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⑦서민금융복지에 관한 연구·개발 등 사업, ⑧그 밖에 재단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항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경기도 K재단 설립 및 운영 지원에 관한 조례 제 4조). 예산은 129,913,222천원(2022년 결산액 기준)이며, 조직은 4실 1센터, 1지원단으로 총 6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경기도 K재단 경영공시 자료). 주요사업으로는 정책연구 및 사회복지시설 평가, 컨설팅,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교육, 지역사회복지, 경기도 청년자산형성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ESG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역별 ESG 평가항목에 맞게 경기도 K재단의 경영평가 항목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영역으로 재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각 영역별 추진사항 등을 진단하였다. 즉, K-ESG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경기도 K재단의 경영평가 보고서 내 관련 내용의 반영 여부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 환경(E)
환경분야 ESG 운영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기도 K재단은 친환경 경영을 추진하기위하여 친환경 경영계획 수립을 통해 미션·비전 및 방향 등을 담아 수립하고 있으며, 친환경 경영 시스템 구축·운영, 친환경 에너지 절감 목표 계획수립 및 적절성, 환경개선, 에너지 절감, 대체에너지 사용 노력 및 성과, 친환경 녹색제품 활용 및 구매 등의 노력 및 성과, 미세먼지 저감 실천·확산 등의 성과지표를 설정하고 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친환경 경영계획은 경영평가 및 내부 점검체계를 통해 점검되고 있으나,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친환경 경영에 대한 인증 등에 대해 계획 및 체계 등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에너지 등 절감 등의 노력을 살펴볼 수 있는 원부자재 범주에서 원부자재 사용량 등의 항목은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은 경영평가 보고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물, 에너지 등의 사용량과 관련하여서는 신재생에너지 이용, 에너지 절감 캠페인 추진 등의 관련 계획 및 내용 등은 수립되어 있으나 세부적인 절감 수준에 대해서는 적시되어 있지 않다. 온실가스 사용량 측면에서 살펴보면, 온실가스 감축 관련 내용은 반영되어 있으나, 실제 구체적인 감축량의 설정 및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 K재단은 연구 및 사업, 평가, 컨설팅 등 서비스 기반의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이므로 제조업 기반에 적용되는 온실가스 감축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는 부분이다. 같은 의미로 에너지 영역 역시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의 계획은 수립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사용량 등의 내용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K재단은 용수사용량, 오염물질 등의 사용량 변경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은 경영평가 보고서 등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무공간이 독립건물이 아닌 공동건물이므로 내용을 명확하게 구분, 제시하지 못하는 외부적인 환경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볼 때, 독립된 기관이므로 외부환경을 고려한 관리체계 및 사용량에 대한 관리방안에 대한 모색은 필요하다. 환경법 및 규제 위반항목을 살펴본 결과 위반사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활동과 관련하여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 녹색제품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상생·협력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제품 구매수준은 제품 구매액 대비 46.6%로 절반정도 녹색제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단 내 운용하는 공용자동차는 모두 친환경 자동차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S)
경기도 K재단의 직원현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상용직 인력의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신규 상용직 채용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상용직의 비율은 정원(71명) 대비 97.2%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비는 2022년 기준 1인당 22만원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이 부분은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점증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복리후생비는 1인당 책정금액은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으나, 2021년부터 건강검진 수준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K재단의 여성 구성원 비율은 60%를 넘는 수준이며, 본부(실 및 센터) 내 실장 및 팀장 여성비율은 70%를 넘는 수준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중심의 운영체계를 정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운영상 구성원의 비율은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균형감있게 운영되는 것이 이상적이므로, 경기도 K재단은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팀장급 이상의 보직 관리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급여의 수준은 남성과 여성의 동일직급 및 동일근속연수를 고려할 때, 유사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률은 3.6% 수준으로 공공기관 장애인 의무고용률 3.4% 수준을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근로자의 고용환경은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근로자의 결사 자유 보장과 관련하여서는 노사협의회 운영, 분기별 노사협의회의 정기 운영, 노사협의회 회의록 등 작성 및 비치, 단체협약의 성실한 이행 등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노동조합의 부재로 인하여 노동조합가입 및 단체교섭 등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K재단은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및 목표 설정 등 안전보건 추진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산업재해 관련 사건은 발생한 이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정책 관련 영역은 인권경영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관련 비전 등을 새로 정립하였으며, 인권영향평가, 인권존중 문화확산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일련의 성과에 도달하였다. 또한, 인권정책에 대한 정보공시를 통해 경기도 K재단 내 인권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동반성장 범주의 협력사 ESG 경영이행을 위한 일련의 활동은 관련 협력사의 부재로 인하여 실질적인 활동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등을 대상으로 인권친화적 시설 만들기 관련 사업 지원 등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범주의 전략적 사회공헌과 관련하여 경기도 K재단은 사회복지 및 사회복지 현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우수 나눔문화 확산, 침수지역 및 긴급수해복구 지원 등을 통해 지역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는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직원들의 봉사활동에 대해 개인근무평가 등에 반영하고, 우수 봉사활동직원에 대해서는 적정한 포상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정보보호 범주는 정보보호시스템 구축관련 계획과 결과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에 대한 공시사항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배구조(G)
경기도 K재단의 지배구조는 이사회 구성, 이사회 활동, 윤리경영, 감사기구 등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이사회 내 ESG 안건 상정과 관련하여서는 인권경영 실천 및 사회적 책임이행을 위한 안건의 심의 및 의결이 이루어졌고, 당연직 이사를 제외한 이사에 대해서는 전문성 및 여성비율 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비상임 이사의 재단 사업·연구 등 관련 자문 및 제언 역할 활성화를 위하여 복지현장 및 학계 전문가의 비율을 50% 이상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체 이사의 참석률은 70% 이상의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사회 상정 안건에 대해서는 원안이 가결되어 상정 안건이 처리되었다. 윤리경영 범주에서는 윤리규범 위반사항 및 행정사무감사 결과 및 이행사항, 반부패 및 청렴도 평가 등을 공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장 내 괴롭힘 등 징계 사항에 대해서는 공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 다만, 행정사무감사에 대한 지적사항 및 감사에 대한 사항은 공시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기구는 대표이사 직속으로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감사기구의 전문성에 있어 변호사, 노무사 등을 자문위원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4) 경영공시(P)
K-ESG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영공시 영역에 대해 살펴보면, 정보공시 형식, 정보공시 내용 및 검증 등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정보공시 범위 등에 따라 관련 내용을 홈페이지 및 클린아이 등에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진단 결과 및 시사점
경기도 K재단 경영실적보고서를 사례로 K-ESG 가이드라인 4개 영역, 27개 범주, 61개 기본 진단항목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분석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것은 4개 영역, 24개 범주, 51개 항목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K-ESG 61개 항목 중 일부 항목은 경기도 K재단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고, 관련 진단을 수행할 수 없는 항목은 분석 내용에서 제외를 하였다. ESG 경영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진단결과를 살펴보면, 경기도 K재단은 경영평가 기준 및 인권영향평가, 인권경영계획 등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행뿐만 아니라 점검 및 환류 등 ESG 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K-ESG 항목 기준을 활용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E)영역에서는 환경경영 목표 설정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은 수립되어 있으나, 실행은 단기적인 성과에 국한되고 있어 계획 대비 실행체계의 불일치성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위기 등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ESG의 연계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으므로, 향후 친환경 관련 계획수립 과정에서 이러한 계획 및 실행, 성과 등 관리체계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개선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영역 제시된 일부 지표(용수재 사용, 온실가스 배출량 등)는 K-ESG 지표는 경기도 K재단에 적용의 한계가 있으므로, 관련 지표에 대해서는 향후 어떠한 지표로 대체하여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S)영역에서는 경기도 K재단의 설립목적 및 주요 기능 등을 고려할 때 법·규제 등을 준수해야 할 공공기관에 맞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부적인 구성원에 대한 관리 계획 및 성과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K-ESG 측정 지표 중 협력사 ESG 경영 및 지원, 협력사항 등의 지표는 적용의 한계가 있으므로,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련 지표의 대체 혹은 변경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 경기도 K재단은 경기도의 출자방식으로 운영되는 공익성을 전제로 하는 공공기관으로 지배구조(G)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부 구성원의 권익을 증진하고 단체교섭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노동조합이 부재하여 향후 노동조합 설립 기반 등에 대한 내부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공시(P)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범위 및 형식, 내용 검증 등은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정보공개의 범위 확대 등 중앙정부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점증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Ⅳ. 결론 및 함의
최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ESG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민간영역을 넘어 공공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ESG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가장 크게는 환경파괴, 자원의 한정성에 비례한 고갈 수준의 증대, 빈부격차의 확대 등 사회·환경·경제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공공성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방 출자·출연기관은 비영리법인으로 재무적 성과를 기반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는 크지 않지만, 기능 수행과정에서 사회적 책임 및 지속가능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K-ESG 가이드라인 및 지표를 활용하여 경기도 K재단의 경영평가 보고서 및 클린아이 등 정보공시 등의 내용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 출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집중해야 할 영역 및 보완해야 할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해당 기관의 특성에 맞는 ESG 지표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E)영역에서는 환경경영 목표 설정 및 중·장기 측면의 계획은 수립되어 있으나, 실행은 단기적인 성과에 국한되고 있어 계획 대비 실행체계의 불일치성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위기 등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ESG의 연계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으므로, 향후 친환경 관련 계획 수립과정에서 이러한 계획 및 실행, 성과 등에 관리체계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K-ESG 가이드라인의 지표 중 일부는 경기도 K재단의 기능 및 역할 수행과 연계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둘째, 사회(S)영역에서는 경기도 K재단의 설립목적 및 주요 기능 등을 고려할 때 법·규제 등을 준수해야 할 공공기관에 맞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부적인 구성원에 대한 관리 계획 및 성과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K-ESG 가이드라인 기준 중 동반성장 관련 부분은 경기도 K재단의 역할과 연계하여 수정·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K재단은 경기도의 출자방식으로 운영되는 공익성을 전제로 하는 공공기관으로 지배구조(G)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부 구성원의 권익을 증진하고 단체교섭 등을 진행할 수 있는 노동조합이 부재하여 향후 노동조합 설립 기반 등에 대한 내부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공시(P)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범위 및 형식, 내용 검증 등은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정보공개의 범위 확대 등 중앙정부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점증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K재단의 ESG 관련 활동을 영역별로 살펴보고, 우수한 부분은 더욱 강화하여 시행하고, 미흡한 부분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완해야 하는 영역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K-ESG 의 영역별 측정항목은 경기도 K재단의 ESG 활동을 반영하기 어렵고, 측정지표가 기관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것도 있어, 향후 공공기관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통 측정지표와 기관특성 측정지표로 구분하여 항목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향후 경기도 K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사회복지시설 선정 과정에서 ESG 지표 등의 활용하여 경기도 K재단의 경영 목적 및 방향성을 일치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복지영역의 ESG 실현을 위한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경기도 출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경기도는 정부 및 산하 공공기관의 ESG 경영 실현을 위한 방향과 세부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적용되고 있는 ESG관련 평가항목 관련 내용 및 범위 등 단계적 운영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ESG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적 운영체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공통 ESG 평가항목과 기관특성 ESG 평가항목을 도입하여 ESG 평가 및 환류, 개선의 형평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K-ESG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측정항목 및 지표를 활용하여 특정 기관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경기도 K재단과 유사한 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각 기관별 ESG 경영 특성에 대한 검증의 정확성을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관별 특성 및 기준치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ESG 적용의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References
- 강동헌·배창현·이현경(2022). “지방공공기관의 ESG 경영에 대한 연구: 강원도 출자·출연기관을 중심으로”, 『정부회계연구』, 21(1): 95-120.
- 경기도(2022). 『2023년 경기도 공공기관 및 기관장 경영평가 매뉴얼』, 경기도.
- 국무조정실(2019). 『갑질근절 추진방안: 공공분야 갑질 근절 종합대책 후속』, 국무조정실.
- 기획재정부(2022). 『2023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편람』, 기획재정부.
- 김지연(2022). “지방 출연기관의 ESG 경영 추진방안 연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2(3): 173-190.
- 노용희·강승모·백자경(2023). “지속가능성을 위한 준정부기관의 ESG경영: 한국임업진흥원의 사회적 가치 측정 지표를 중심으로”, 『KBR』, 27(2): 1-20.
- 산업통상자원부(2021). 『K-ESG 가이드라인 v1.0』, 산업통상자원부.
- 손수득·김용덕·이성기(2021). “공공기관의 ESG 지배구조 추진전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22(5): 159-183.
- 이은선·최유경(2021). 『ESG 관련 개념 정리와 이해』, 한국법제연구원.
- 정명재(2022).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전략 도입 필요성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41(1): 123-155.
- 한동숙(2021). “공공기관의 ESG 도입을 위한 정책 방안”, 『재정포럼』12월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황수덕·김희범·이영재(2022). “공공기관 ESG 경영을 위한 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8(2): 87-105.
- 황은진·조상미·안지영(2022). “공공기관의 ESG와 조직성과: 기관장의 리더십과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조절 효과”,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5(1): 133-163.
- 행정안전부·지방공기업평가원(2022). 『2023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편람』.
- Visser, W. and Kymal, C(2015). “Integrated Value Creation(IVC): Beyo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reating Shared Value(CSV),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Ethics, 8(1): 29-43.
- https://esg.krx.co.kr, KRX ESG 포털.
- https://www.cleaneye.go.kr, 클린아이(지방공공기관통합공시).
- https://www.msci.com, MSCI 홈페이지.
- https://www.robeco.com, ROBECO 홈페이지.
2012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섬진흥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정책 수단 유형에 대한 고찰:경기도 청년정책을 중심으로”(2023),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공모사업의 의의와 정책적 함의”(2023), “섬주민기본소득제도입을 탐색적 연구:전라남도를 중심으로”(2021)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성과관리 및 평가, 청년정책, 지역이익공유제 및 소득보장정책 등이다.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현재 경기복지재단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경기도 1인 가구의 주거실태 분석”(2022), “농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의 주관적 건강요인과 다차원적 사회관계망 중심으로”(2020)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보장정책, 지방재정, 지역사회복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