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학술지홈페이지
[ Article ]
GRI REVIEW - Vol. 25, No. 0, pp.61-85
ISSN: 2005-8349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10 Nov 2023 Revised 05 Dec 2023 Accepted 15 Dec 2023

ESG 도입 활성화 방안 : 경기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강철구** ; 고재경*** ; 안찬중**** ; 예민지*****
**강철구 :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주저자)
***고재경 :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공동저자)
****안찬중 : 국립환경과학원 전문연구원(공동저자)
*****예민지 : 경기연구원 연구원(공동저자)
ESG Action Plan for SMEs in Gyeonggi-Do
Kang, Cheolgu** ; Go, Jaikyeong*** ; Ahn, Chanjoong**** ; Yae, Minji*****
**Kang, Cheolgu : Senior Researcher, Gyeonggi Research Institute(First Author)
***Go, Jaikyeong : Senior Researcher, Gyeonggi Research Institute(Co-Author)
****Ahn, Chanjoong :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Co-Author)
*****Yae, Minji : Researcher, Gyeonggi Research Institute(Co-Author)

초록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은 조직, 정보, 인력, 예산의 상대적인 열악함으로 인해 ESG 도입에 애로를 겪고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직원 월급주기도 빠듯하며 경영수지를 맞추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들에게 ESG를 도입하라고 권고하는 것은 아직 비현실적일 수 있다. 그렇다고 ESG를 더 이상 외면할 수도 없다. ESG를 도외시했다가는 기업경쟁력이 더 악화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품판매나 공급, 투자유치, 기업이미지 개선에 유리한 ESG가 곧 경쟁력인 시대이기 때문이다. 쟁점은 이러한 중소기업이 ESG를 도입·운영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 즉 정책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다. 물론 중소기업 CEO의 ESG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와 자체 역량 강화는 지원 보다 더 우선인 것은 당연하다. 경기도 관내 중소기업들의 ESG 도입 활성화를 위해 정책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단기적 우선 추진과제로 중소기업 대상 ESG 교육·컨설팅 확대 우선적 실시, 중소기업 유형별 차별화 맞춤형 ESG 인식 저변 확대 방안 추진, 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E(환경)부분 맞춤형 지원 추진, 중소기업형 ESG 평가 관리지표 마련 및 활용 홍보, 중소기업 ESG 경영 가이드라인 마련, 중소기업 ESG 민관협의회 구성·운영 등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중소기업의 최우선 정책수요 분야에 집중 지원 추진,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 및 홍보 강화, 친환경공정 전환 등 E(환경)부분 기업 자체 대응전략 강화가 필요하다.

Abstrac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ace challenges in adopting ESG due to their relative lack of organization, information, staff and budget compared to larger companies. Most SMEs have tight employee payroll cycles and struggle to break even. Advising them to adopt ESG may be unrealistic at this point. But they can't afford to ignore ESG any longer. If they do, their competitiveness may worsen. This is because ESG is the key to enhancing competitiveness by favoring product sales and supply, attracting investment, and improving corporate image. The issue is that policy support from the public sector is crucial for SMEs to adopt ESG. Of course, the active willingness of SME CEOs to adopt ESG and the strengthening of their own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support. Policy support should be actively provided to activate the adoption of ESG by SMEs in Gyeonggi-Do. To this end, as a short-term priority, Gyeonggi-Do should prioritize the expansion of ESG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SMEs, promote customized ESG awareness measures differentiated by type of SME,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the E (environment) sector differentiated by company characteristics, prepare and promote the use of ESG evaluation management indicators for SMEs, prepare ESG management guidelines for SMEs, and establish and operate the SME ESG Public-Private Council. In the mid-to long-term, it is necessary to focus support on the priority policy needs of SMEs, strengthen the certification and promotion of ESG-excellent SMEs, and strengthen companies' own response strategies in the E sector, such as switching to eco-friendly processes.

Keywords:

ESG, SMEs, sustainable management, Net Zero, climate crisis, CSR

키워드:

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 탄소중립, 기후위기, 사회책임경영

Ⅰ. 서 론

코로나 19, 탄소중립, 투자사들의 요구로 ESG 경영이 기업계에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 19, 기후위기 및 탄소중립 대응으로 기업경영 패러다임이 기업이윤 못지않게 사회책임을 함께 추구하는 형태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주된 양상이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지표라고 하는 ESG를 반영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란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약칭으로 기업경영에서 탄소중립 등 환경경영(E), 사회공헌 등 책임경영(S), 윤리 등 투명경영(G)을 고려하여 기업경영 관련 투자를 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다. ESG 경영은 코로나 19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된 기후위기의 심각성, 세계적 투자사 블랙록 래리 핑크 CEO의 투자 연계 발표를 계기로 2020년부터 본격 재부상하기 시작하였다.

ESG는 기후변화로 글로벌 기업경영에 있어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과 혁신을 위한 기업의 필수 경영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 실천 등 환경문제 대응, 사회책임 강화와 리스크 관리를 통한 지속가능경영과 투자유치 확대를 목적으로 국내외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ESG 경영 도입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코로나와 같은 팬데믹 예방, 기후위기 대응과 그린뉴딜,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정의로운 전환, 기업의 사회책임 강화와 지속가능경영 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 투자자, 금융권, 정부 등이 ESG 도입과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정부는 2026년부터 자산규모 2조원 이상 대기업, 2030년부터 全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ESG 공시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대기업에 비해 아직 ESG 도입 여건이 불충분하지만 중소기업도 환경보호와 사회책임 확대, 폭넓은 투자자 유치, 경쟁력 확보, 우수인재 유치를 위해 ESG 경영 도입을 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에 놓여 있다. ESG 경영이 투자계획, 리스크관리, 생산성 확대, 외부 투자자금 유치 등 기업활동과 지속가능경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도 동참을 요구받고 있다.

최근 국내외 ESG 흐름과 관련 국내 기업이 처한 핵심과제는 기후변화에 따른 2050 탄소중립 달성, RE100 가입과 실천 등 에너지전환 이슈, 2026년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부과와 탄소배출 감축 이슈, 기업의 ESG 의무 공시 이슈 등인데, 특히 중소기업이 이러한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기도 등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림 1>

기업의 ESG 최근 핵심과제자료 : 저자 작성(2023).

우리나라의 경우 대기업 위주로 ESG가 도입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아직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어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ESG 경영 도입은 재정과 전문 인적자원이 풍부한 대기업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체 산업체 수의 9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국내기업의 ESG 대응수준은 선진국 10점을 기준으로 대기업 7점이지만 중견기업 5점, 중소기업은 4점에 불과하다.1) 경기도의 중소기업도 ESG 도입에 의지가 있더라도 정보부족, 비용,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애로와 도전과제가 산적해 있다. 전문인력, 정보자원, 재정 등에 강점을 지닌 대기업들은 ESG 경영 노하우와 방향모색을 효과적으로 추진중이지만 중소기업은 전문인력 등 기본자원에서 취약하고, 이익창출 등 재무적 가치 창출도 쉽지 않은 상태에서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등 비재무적 성과요소라고 하는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기여 활동인 ESG에 까지 관심을 갖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ESG 경영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운영할 수 있는 방안 제시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림 2>

중소기업의 ESG 도입 취약성자료 : 저자 작성(2022).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동반성장위원회 등 중앙정부에서는 기업의 ESG 도입 확산을 위해 지원정책을 일부 추진중이거나 계획 중에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아직까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의 ESG 도입과 실효적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마련이나 지원정책 추진이 미흡한 실정이다. ESG의 도입과 실효적 운영을 위해서는 정부나 기업의 어느 일방의 주도가 아닌 기업영역에서 ESG 시장을 형성하고,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을 지원하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 ESG 경영 확산의 성패는 중소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경제적 지원과 인센티브 등 기업이 원하는 실질적인 지원정책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경기도 내 기업 ESG 경영 도입 확산과 실효적 운영을 위해 중소기업 대상 ESG 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해 기본방향과 체계, 경기도의 지원 역할, 기업의 자체 역할 방안 모색을 토대로 중소기업 ESG 도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Ⅱ. ESG 특성 및 선행연구 검토

1. ESG 특성

ESG는 기업과 기관이 추구해야 할 글로벌 트렌드 사회적 가치 실현 경영 방식이다. ‘지속가능경영’ 내지 ‘환경사회책임투명경영’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윤창출, 효율성이라는 전통적인 경제·재무적 가치도 중요하지만 특히 기후위기 시대에 글로벌 트렌드 ESG를 추구하지 않으면 기업과 공공조직이 시장과 사회의 생존경쟁, 경쟁력에서 도태할 수밖에 없으며, 국민들의 진정한 삶의 질 향상 나아가 지속가능한 국가, 기업, 사회 발전도 요원할 수밖에 없다. ESG 요소에서 E는 에너지사용, 탄소중립,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 RE100을, S는 기존의 기업사회책임활동(CSR)과 유사한 것으로 사회공헌활동, 동반성장,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G는 이사회 역할, 감사제도 운영, 반부패 윤리경영을 주로 내포하고 있다.

<그림 3>

ESG 개념 이해의 틀자료 : 강철구 외(2022).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이슈&진단』, No.511, 경기연구원.

기업은 탄소중립, 환경규제 대응과 투자유치 확대를 위해 ESG 경영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시대에 놓여 있다. 현재 기업경영과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투자자, 협력사, 정부, 시민사회 등 이해관계자들의 ESG 요구가 증대하고 있어 대기업에 이어 중소기업도 ESG 경영 도입이 필수 경영과제로 받아들여야 할 상황에 있다. 기업의 ESG 경영 도입이 필요한 이유는 환경보호 등 ESG 규제 강화, 투자자의 ESG 요구 증대, 기업평가에 ESG 반영, 고객의 ESG 요구 증대 등으로 집약할 수 있다.2)

<그림 4>

기업의 ESG 경영 도입 필요성자료 :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1).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이와 더불어 중소기업에서는 특히 자본시장의 요구, 고객사(대기업)의 요구, 국내외 규제 증가, 고객(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ESG를 더이상 시장에서 외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ESG 실적이 부족한 경우 금융 이용 불리, ESG 불량 기업의 경우 협력사에서 배제될 가능성, 탄소배출량 등 국내외 환경규제 강화, 소비자의 구매시 ESG 활동 고려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도 ESG 경영을 도입해야 생존할 수 있다. 국내 대기업들이 협력사 선정시 제품 안전, 노동·환경 등의 측면에서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반영하고 있으므로 대기업의 공급망에 속해 있거나 협력을 원하는 중소기업들은 ESG 경영에 관심을 가지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3)

<그림 5>

중소기업의 ESG 도입 필요성자료 : 대한상공회의소(2021). 『중소기업 ESG 확대방안』.

2. 선행연구의 검토

기업 ESG 연구는 주로 경영·회계·환경·법학 학계에서 두루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 출연이나 민간연구소에서도 ESG 연구가 정책제안 차원에서 수행되고 있다. 기업 대상 ESG는 대기업, 중소기업을 크게 나누어 접근하지 않고 주로 기업 대상 전체를 연구범위로 하여 수행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 대상 선행연구의 기능별 수행 범위는 크게 ESG 도입 방안, 영향요인 분석, 지원정책 방향, 인식조사 분석 등으로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ESG 도입 방안 분야 연구 동향으로 서환승 외(2022)는 중소기업 ESG 경영 현황과 도입 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중소기업은 ESG 경영에 대한 인식과 준비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중소기업의 ESG 경영 실태와 현황을 조사하고 실증 데이터를 통해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전략 도출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변영조 외(2022)는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연구에서 ESG의 역사, 도입배경 그리고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국내·외 연구의 문헌분석을 통해 재무, 인사, 마케팅, 생산전략은 장기적으로 재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 등에서도 ESG를 도입·운영하는 회사들이 강한 시장의 매력요인 창출을 통하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며 회사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력한 경쟁전략임을 확인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ESG 도입과 기업 영향 분야 연구 동향으로 김세희 외(2022)는 ESG 활동과 기업가치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에서 ESG 활동이 매출액 및 영업이익룰 증가를 통해 기대현금 흐름을 개선하거나 자기자본비용 또는 타인자본비용을 낮추어 기업가치를 제고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ESG 활동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주장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이는데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라영수 외(2022)는 ESG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ESG 평가등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시장에서 ESG가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정도는 아직 미미하다고 하면서 기업의 적극적인 ESG 관리는 기업의 수익과 자금역량에 기인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기업들이 ESG의 적극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기업가치에 ESG 성과가 잘 반영되어야 가능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서 기업과 시장이 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윤효 외(2022)는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 ESG 도입 용이성과 유용성이 도입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CEO의 역할 의지, 고객의 요구, 정부지원, 신용평가 반영 등이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 중에서도 특히 중소기업 CEO의 의지와 공급망에 있는 대기업과의 상생관계 구축이 성공적인 중소기업 ESG 도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고병국 외(2022)는 ESG가 발전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S&P 500대 기업 중 23개 에너지 기업을 대상으로 ESG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으로는 미약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제시하고 있다. 반혜정 외(2022)는 ESG 경영이 기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ESG 활동이 기업의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증거를 발견하였으며 소유지배 괴리도가 감소할수록 ESG가 기업의 투자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ESG 경영을 통하여 시장의 자원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건전한 지배구조가 대리인 문제를 완화시키며 ESG에 대한 정보공시가 기업 활동의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ESG 지원 정책관련 연구동향으로 박성욱 외(2022)는 중소기업 ESG에 대한 향후 연구 및 지원정책 방향에서 중소기업 ESG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ESG 지원정책은 대부분 환경이슈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지배구조의 측면과 관련된 지원은 드문 것으로 분석되었다.

ESG 설문을 통한 인식조사 연구나 분석은 주로 출연 연구소와 기관 차원에서 수행되어 왔는데,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부산상공회의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등이 대표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1년 500대 기업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에서 ESG 경영전략 수립의 어려운 이유는 개념 모호, 낮은 사업연관성, 제각각 평가방식을 지적하였으며, ESG 경영 이유는 투자유치보다 기업 이미지 제고라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21년 ESG 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이 ESG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조사하였으며, 기업이 대응못하고 있는 ESG 분야는 지배구조 > 환경 > 사회 순이라고 밝히면서 대응 과제로 소비자가 신뢰할만한 제품 생산, 일자리 창출, 사회공헌 등이라고 제시하였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021년 부산기업 ESG 경영 현황 및 인식조사 결과에서 조사기업 10곳 중 7곳 여전히 ESG에 대한 관심이 낮고 관련계획 수립 의사도 없음을 분석하고, 탄소국경세 등 ESG와 관련한 글로벌 수출규제도 강화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지역 기업들도 대비의 필요성이 높아진 만큼 개별기업 차원이 아니라 정부가 나서서 중소기업에 대한 ESG 컨설팅 지원사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021년 ESG 경영 관련 중견기업계 의견 조사에서 중견기업 78.2%가 ESG 경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면서 ESG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 인센티브, 평가·공시 기준 공신력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2021년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실태 및 정책제언 연구에서 경기도 관내 종업원 수 10인 이상 중소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기업들이 ESG 경영을 준비하기 어려운 이유는 정보 부족, 인력 부족, 자금 부족, ESG 효과 불확실성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ESG 경영 대응 지원 정책 수요로 중소기업들은 세제혜택 제공, 자금지원, 컨설팅 지원 순으로 응답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의 ESG 도입 배경과 지원 정책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음을 볼 수 있었지만, 대기업과 차별화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경향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력, 예산, 정보력에서 취약한 중소기업이 ESG 도입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정책사항이 무엇인지, 또한 자체 대응역량 강화 방안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 제시 연구는 드물었다. 한편으로 인구와 산업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서 전국의 대표성을 지닌 경기도를 대상으로 한 ESG 연구는 매우 드문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경기도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위시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의 실태와 인식을 반영한 현황 분석과 정책대안을 제시하여 중소기업이 ESG 도입과 실효적 운영을 성공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3. 분석의 방법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31개 시·군 전역 300인 이하 중소기업 대상, 시간적 범위는 2023년 이후 부터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ESG 특성, 경기도 중소기업 ESG 실태 및 문제점 분석, 경기도 중소기업의 ESG 도입 및 실효적 운영 방안 등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현장 실태조사, 자문회의, 국내외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초점을 경기도 관내 중소기업에 두어 실태 및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경기도 관내 중소기업 10여 개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ESG 추진 관련 장애요소나 애로사항과 정책제안사항을 조사하였다. 자문회의는 ESG 전문가 초청 회의를 동해 ESG 쟁점과 경기도의 발전방안을 주로 청취하여 연구수행에 반영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의 분석모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6>

분석의 틀자료 : 저자 작성(2023).


Ⅲ. ESG 경영 도입사례 분석

대표적 해외사례로 알리안츠(Allianz SE)는 2020년 MSCI 지속가능 평가에서 최상위 등급인 AAA를 받았으며, 최대 의결권 자문기관인 ISS의 ESG 평가에서도 최고등급을 획득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ESG 경영 및 투자를 선도하고 있다. 기업책임의 일환으로 ESG의 각 요소를 담고 있는 3가지 핵심 영역(환경: 기후변화와 탄소제거, 사회: 사회적 포용, 지배구조: ESG 경영 통합)을 제시하고, 사업 전반에 걸쳐 ESG 경영이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ESG 프레임워크를 담당하는 기업책임관리팀을 운영하고 있다.4) IKEA는 2012년 지속가능성 전략으로 ‘People & Planet Positive’를 채택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사용 절감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2025년까지 전기차 배송을 100% 달성하고, 2030년까지 IKEA 전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평균 70% 이하로 감축하며 전 생산단계에서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IKEA는 제품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재사용(Reuse), 수리(Refurbishment), 재생산(Remanufacturing), 재활용(Recycling) 등 4R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제품 제작 시 FSCⓇ 인증을 받은 목재를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미쓰비시상사는 환경과 사회적 책임은 사업 리스크인 동시에 기회라는 인식하에 자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필요불가결하다고 파악하고 2018년 ‘중기경영전략 2021’에서 사업을 통해 경제·사회·환경 등 3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한다는 방침을 표명하였다. 사업을 통한 사회·환경 가치 창출을 ‘지속가능성’이라고 정의하고, 기부를 통한 사회공헌활동(CSR)과는 구분하였다. 2017-19년 기업의 ESG에 대한 정보를 담은 ‘ESG 데이터북’을 발간하여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하였고, 2020년부터 기존 ESG 내용을 유지하면서 지속가능성 부분을 확대한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행하였다.5)

국내 중소기업 선도사례로서6) 현대아이티는 회사 매출의 60~70%를 차지하는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환경 및 에너지에 대한 요구 조건에 선행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친환경, 에너지 경영 구축’ 노력중이다. 밸류체인 전체의 성과 창출을 위하여 협력사들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물질정보관리 체계 구축 등 핵심적인 관리 활동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하고 있다. 세림 B&G는 지구온난화로 대두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일상생활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 제품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형마트, 슈퍼마켓, 약국, 카페 등 일반적으로 고객 접근성 및 사용 빈도가 높은 포장봉투, 생분해 빨대 등을 납품하고 있으며, 친환경 Flim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객들의 친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실천을 유도하고 있다. 지구인컴퍼니는 ESG 경영을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을 인정받아 성공적인 벤처투자 유치를 이끌어내고 있다. 언리미트 2030 중장기 탄소저감 캠페인(Let’s zero)을 통해 탄소중립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2021년 P4G 서울 정상회의에서 식량 및 농업 분야의 식량 손실과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업으로 선정되어 P4G와 MOU를 체결하였다. 코미코는 SK하이닉스가 협력사에 제공하는 SHE(안전·보건·환경) 포털을 통해 ESG 리스크를 점검하며, SHE 컨설팅 프로그램에 수년간 가입하면서 매해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사례로 볼 때, ESG 공시제도 관련 논의가 빠르게 진전되며 시장 중심의 대응에서 의무적 규제로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ESG 투자 시장 규모가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ESG 경영이 기업의 부가가치와도 연결되고 있어서 ESG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ESG 경영이 새로운 국제표준으로 자리잡으면서 글로벌기업의 공급망 협력사에 대한 ESG 요구 확대가 중소기업에도 영향을 미칠것을 전망된다. ESG 요구가 공급망 전체로 확대됨에 따라 국내 대기업 역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중소 협력사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므로 대기업-중소기업 협력이 중요하다. ESG 중 기후변화 리스크 영향이 중요해지고 중소기업의 경우 환경에 대한 준비가 부족해 친환경인증 획득, 탄소중립 달성 등 환경분야 ESG 지원이 특히 필요하다. 그리고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민간기업의 ESG 경영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공공기관의 선도적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


Ⅳ. 설문조사 분석 결과

2022.2.3.-2022.2.23.일간 경기도 소재 종사자 수 300인 이하 중소기업체 131개 사를 대상으로 ‘경기도 중소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인식, 대응현황, 정책수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ESG 경영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자금, 인력, 정보 등이 대기업에 비해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현재의 ESG 경영 실태와 애로사항, 정책수요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항목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50%는 ESG를 모르고 있었으며, ESG 경영 도입 준비 수준은 매우 낮았다. ESG 전담 조직이나 인력은 83.2%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ESG 도입에 있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조직 내 전문인력 부족을 꼽고 있다. 경기도에 대한 ESG 중소기업 지원정책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7>

ESG 개념 인식정도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8>

ESG 경영 준비 수준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9>

ESG 경영 도입 및 실천 애로사항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ESG 경영의 핵심요소 3가지 중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 준비할 계획이냐라는 질문에 E(환경) 43.8% > S(사회) 33.1% > G(지배구조) 23.1% 순으로 응답하였다. ESG 각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는 E의 경우 환경오염물질 저감(16%), S의 경우 사업장 안전보건 개선(13.5%), G의 경우는 기업윤리 강화(16.3%)라고 응답하였다.

<그림 10>

ESG 요소 중 도입 우선순위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ESG 경영을 도입 내지 활성화하기 위해 현재 조직 내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CEO 및 임원진 인식 개선(44.3%)을 가장 많이 제기하였다.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및 확산과 관련 현재의 열악한 상황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의 ESG 도입 활성화를 위해 향후 경기도의 역할은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필요하다는 응답이 77.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및 확산을 위해 경기도 차원의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냐 하는 질문에 ESG 경영을 장려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58.8%)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림 11>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및 확산을 위한 정책수요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설문조사 결과가 주로 시사하는 점은 중소기업 중 50%에 머무르고 있는 ESG 개념 인식도 제고가 우선 시급하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은 아직 자발성보다는 정부정책 순응 차원 의무감에 도입 추진하는 경향이 강한 실정이다.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전문인력 부족, 내부 개선과제로 CEO 및 임원진 인식개선을 지적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이 시급하다. 중소기업은 도입 및 중요도 우선순위를 환경(E) > 사회(S) > 지배구조(G) 순으로 둬 이에 맞는 도입 준비와 경기도의 지원정책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경기도의 ESG 경영 지원 수준에 대한 중소기업의 만족도가 낮지만 향후 경기도의 지원역할 필요성 기대치가 매우 높아 경기도의 중소기업 ESG 도입 및 실효적 운영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Ⅴ.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및 운영 방안

1. 기본방향

경기도 중소기업의 ESG 도입 및 실효적 운영을 위해 비전을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에 두도록 한다. 이러한 비전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표로 ‘ESG 경영 도입 확대’, ‘ESG 경영 우수기업 육성’, ‘지속가능경영 선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비전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으로 ① 수요자 맞춤형 지원, ② 대내외 활성화 기반 구축, ③ 중소기업 자체 대응역량 강화를 설정하도록 한다.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기에는 대기업에 비해 조직, 인력, 재정 등 제반 여건이 열악하고, 경영구조상 비재무적 사회적 가치인 ESG 보다는 이익창출이라는 재무적 가치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경기도는 중소기업의 ESG 정책 기본방향과 전략을 ‘지원’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탄소중립 달성 등 중소기업 부담이 큰 E(환경)부분은 별도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S(사회)와 G(지배구조)부분은 인센티브 제공 등으로 ESG 도입을 유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추진과제의 실천력 제고를 위해 과제별로 경기도 조직내 주무부서 및 보조지원부서와 산하 공공기관을 지정하여 추진하도록 하고, 또한 중앙정부,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시·군, 중소기업별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여 추진하도록 한다.

<그림 12>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비전, 목표자료 : 저자 작성(2022).

2. 추진과제

수요자 맞춤형 지원, 대내외 활성화 기반 구축, 중소기업 자체 대응역량 강화 등 세가지 전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추진과제를 설정 제안하며, 향후 경기도와 중소기업이 적극 추진하도록 한다. 경기도는 중소기업 ESG 정책방향이 ‘지원’에 초점이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정책제도간 정합성, 연계성, 참여 접근성, 실효성 확보 등을 통해 정책 효율성 제고를 도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중소기업 부담이 큰 E(환경)부분은 별도 지원방안 마련, S(사회) 및 G(지배구조)부분은 인센티브 제공을 큰 정책방향으로 하여, 중소기업 ESG 도입 및 운영 활성화 단기/중장기 추진과제를 설정·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추진과제


Ⅵ. 결 론

ESG 경영, 중소기업의 경우 아직까지 도입 준비와 운영 모든 부분에서 미흡하다. ESG의 중요성과 시장 생존, 탄소중립 달성 등 정부정책 기조 부응을 위해 대기업은 전문조직과 인력, 재정 투입을 통해 ESG 경영을 일찌감치 도입·운영중에 있다. 대기업은 지속가능경영 달성 차원에서 ESG를 적극적으로 추진중에 있으며 협력사와도 체계적인 협력과 지원을 통해 ESG 경영의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여러 여건이 불충분하여 ESG 도입 및 운영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으며, 경기도 등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지원없이는 ESG 대응력을 갖추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코로나 19 발생과 같은 기후위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강화, 금융투자사들의 압박, 정부의 정책 기조 등 처해진 대외적 환경은 같은 기업집단으로서 대기업과 동일하지만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여전히 ESG를 이익창출과 직결되는 재무적 생산적 요소가 아닌 비재무적 사회적 가치인 비생산적 요소로 생각할만큼 경영구조에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도입을 위한 자체 제반 여력도 부족하여 ESG 도입 및 운영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경기도 내 중소기업의 ESG 도입 중요성과 필요성에 비해 경기도의 정책지원 구조는 미흡하다. ESG 도입 및 운영을 위한 경기도의 현재 정책지원 수준에 대한 관내 중소기업의 만족도는 100점 기준 38.2점으로 낮은 실정이며, 향후 경기도의 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중 77.1%가 공감하고 있다.

경기도는 2022년부터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기반 조성사업’을 시행하기 시작했지만 중소기업의 수요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관내 중소기업의 ESG 도입 및 운영과 관련 애로사항으로 주로 ESG 전문인력 부족, ESG 도입 및 실천 관련 정보 부족, ESG 이해 교육 및 안내자료 부족, 제한된 재원, CEO 및 직원들의 인식 부족 등을 지적하고 있다. 경기도와 중소기업이 잘 협력하여 ESG 경영 활성화에 걸림돌인 이러한 애로사항을 하나하나 해소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도는 중소기업의 ESG 정책 기본방향과 전략을 ‘지원’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며, 중소기업도 자체 대응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경기도는 기본적으로 탄소중립 달성 등 중소기업 부담이 큰 E(환경)부분은 별도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S(사회)와 G(지배구조)부분은 인센티브 제공 등으로 ESG 도입을 유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이 경기도에 바라는 정책지원 사항은 경제적 지원 > ESG 우수기업에 대한 인증 및 홍보 강화 > ESG 교육 기회 및 정보자료 제공 확대 > 중소기업 특성을 반영한 ESG 경영 도입 지침서 및 가이드라인 제공 > ESG 성과에 따른 정책금융 확대 > ESG 우수기업에 대한 조달 및 공모선정 가점, 공공구매 확대 > ESG 경영 컨설팅 지원 강화 순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들 전략과 수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경기도는 ESG 경영 인식 확산 방법 개발 및 지원 등 수요자 맞춤형 지원, 경기도 중소기업형 ESG 평가 관리지표 마련 및 활용 홍보 등 대내외 인프라 기반 구축에 역점을 두고 중소기업 ESG 경영을 활성화하도록 한다.

중소기업도 경기도의 지원 정책과 함께 자체 대응력 강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중소기업 ESG 경영의 성공은 경기도의 중소기업을 위한 도입 초기비용과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그에 앞서 기업 스스로 ESG 마인드를 제고하고, 도입 및 운영을 위한 기반 여건을 구비하려는 자체 노력이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경영진의 ESG 인식제고와 전문인력 배치, 평가지표에 대한 검토와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가진단 실시 등 자체 대응역량을 강화해 나가도록 한다.

경기도는 중소기업의 ESG 도입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해 수요자 맞춤형 지원, ESG 인프라 기반 구축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은 자체 대응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추진과제를 단기(~2025년), 중장기(2026년~)로 나누어 우선순위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 우선 추진과제로 중소기업 대상 ESG 교육·컨설팅 확대 우선적 실시, 중소기업 유형별 차별화 맞춤형 ESG 인식 저변 확대 방안 추진, 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E(환경)부분 맞춤형 지원 추진, 중소기업형 ESG 평가 관리지표 마련 및 활용 홍보, 중소기업 ESG 경영 가이드라인 마련, 중소기업 ESG 민관협의회 구성·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지원 관련 제도적 기반 수립, ESG 우수 중소기업 가산점 및 공공조달 확대, 경영진의 ESG 인식제고와 최소담당 인력 지정 배치, ESG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가진단 실시 활성화, ESG 요소별 중요 평가지표에 대한 자체 준비 대응력 강화, 대한상공회의소 등 중앙 각급기관 기 제공자료 토대 한눈에 보는 ESG 안내 교육자료 제작 활용 홍보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도록 한다. 중장기적 우선 추진과제로 중소기업의 최우선 정책수요에 집중 지원 추진,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 및 홍보 강화, E(환경)부분 기업 자체 대응전략 강화가 필요하다. 대-중소기업 ESG 협업 강화, 중소기업 CEO ESG포럼 창설·운영, 친환경 공정설비 전환 및 구축 지원, 탄소중립 달성 중점 지원, S(사회), G(지배구조)부분 요소 중 우선순위 중요 분야 중점 지원 등을 추진하도록 한다.

Acknowledgments

이 글은 강철구 외(2022). 『경기도의 기업 ESG 도입 방안 연구』, 경기연구원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Notes
1) 전국경제인연합회(2021). 『글로벌 ESG 확산 추세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
2)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1).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3) 이연희 외(2021).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실태 및 정책 제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4) 이승준(2021). 『보험회사 ESG 경영 현황 및 과제: 독일 알리안츠 사례 연구』, 보험연구원.
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1). 『일본의 ESG 대응 전략 분석과 시사점』.
6)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기업 CSR 우수기업 사례집』; 지구인컴퍼니. “https://unlimeat.com/shopinfo/company-1.html” (2022.4.1. 검색);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ESG 경영안내서(이해편)』; 코미코. “http://www.komico.com/kr/company/ceo.php”(2022.4. 4 검색).

References

  • 강철구 외(2022). 『경기도의 기업 ESG 도입 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 강철구 외(2022).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이슈&진단』, No.511, 경기연구원.
  • 고병국 외(2022). ESG가 발전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재생에너지, 2022, vol.18, no.2. 통권 72호,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 고재경 외(2021). 『경기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 관계부처 합동(2021). 『친환경·포용·공정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ESG 인프라 확충 방안』.
  • 관계부처 합동(2020).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안)』.
  • 관계부처 합동(2021). 『K-ESG 가이드라인 v1.0』.
  • 금융위원회(2021). 『ESG 국제 동향 및 국내 시사점』.
  •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2021).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방안』.
  • 김세희 외(2022). ESG 활동과 기업가치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회계저널, 2022, vol.31, no.3. 한국회계학회.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1). 『일본의 ESG 대응 전략 분석과 시사점』.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21). 『해외 기업의 ESG 대응 성공사례』.
  • 대한상공회의소(2021). ESG 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 대한상공회의소(2021). 『중소기업 ESG 확대방안』.
  • 대한상공회의소·삼정 KPMG 경제연구원(2021). 『중소·중견기업 CEO를 위한 알기 쉬운 ESG』.
  • 대한상공회의소·삼정 KPMG 경제연구원(2021). 『중소기업 ESG 추진전략』.
  • 동반성장위원회(2021). 『 「2021년도 협력사 ESG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공고』.
  • 라영수 외(2022). ESG와 기업가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022, vol.22, no.6. 통권 77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박성욱 외(2022). 중소기업 ESG에 대한 향후 연구 및 지원정책 방향, 기업경영연구, 2022, vol.29, no.6. 통권 106호, 한국기업경영학회.
  • 박혜린(2022). 『ESG-Environment 대응 전략』, 대한상공회의소.
  • 반혜정 외(2022). ESG 경영이 기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리회계연구, 2022, vol.22, no.3, 한국관리회계학회.
  • 변영조 외(2022).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연구, Clean Technology, 2022, vol.28, no.2. 통권 97호, 한국청정기술학회.
  • 부산상공회의소(2021). 부산기업 ‘ESG 경영’ 현황 및 인식조사 결과.
  • 산업통상자원부(2020). 『지속가능경영 확산 대책』.
  •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0). 『ESG 경영 시대, 전략 패러다임 대전환』.
  •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1).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서환승 외(2022). 중소기업 ESG 경영 현황과 도입 전략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022, vol.22, no.5. 통권 76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이승준(2021). 『보험회사 ESG 경영 현황 및 과제: 독일 알리안츠 사례 연구』, 보험연구원.
  • 이연희 외(2021).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실태 및 정책 제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이윤효 외(2022).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2022, vol.25, no.4, 통권 109호, 한국유통경영학회.
  • 임수빈(2020). 『EU 분류체계(Taxonomy) 현황과 시사점』, KDB미래전략연구소.
  • 전국경제인연합회(2021). 500대 기업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
  • 전국경제인연합회(2021). 『글로벌 ESG 확산 추세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
  • 전국경제인연합회·K-ESG얼라이언스(2021). 『2021 k기업 ESG 백서: 110개 사 분야별 ESG 경영 모범사례』.
  • 전국경제인연합회·김앤장(2021). 『ESG 경영 사례집: 분야별 국내외 ESG 사례』.
  •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기업 CSR 우수기업 사례집』.
  •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기업 ESG 촉진방안』.
  • 중소벤처기업부(2021).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ESG 경영안내서(이해편)』.
  • 중소벤처기업연구원(2021). 『ESG 확산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 방향』.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2021). 『中企 ESG 경영 대응 동향조사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 한국기업지배구조원(2020). 『2020년 ESG 등급평가』.
  • 한국중견기업연합회(2021). ESG 경영 관련 중견기업계 의견 조사.
  • 한상범 외(2021).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코미코. “http://www.komico.com/kr/company/ceo.php, ” (2022.04.04. 검색).
  • Climate Bonds Initaitive(2021). 『Sustainable Debt Global State of the Market 2020』.
  •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2021).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 2020』.
  • TCFD(2017). 『Recommendations of 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 IKEA.“https://www.ikea.com/kr/ko/this-is-ikea/about-us/ikea-pubb5534570, ” (2022.03.31. 검색).
  • RE100. “https://www.there100.org, ” (2022.04.01. 검색).
  • “[2021 경영 트렌드] ESG 경영, ‘ESG’사례 국내편”, 월드투데이(2021.05.18.).
  • “[가야할 길 녹색경영] ② ESG는 생존 전략…국내 기업들 현주소는”, 매일경제(2022.02.21.).
  • “『대·중소기업 ESG 협력네트워크 포럼』 출범식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2.02.10.).
  • “거세지는 ESG 열풍’ 미국 SEC, 기후 공시 의무화 표결 임박”, 조선비즈(2022.03.06.).
  • “경기경제청, ESG·RE100 관련 기업 투자유치 적극 추진”, 경기경제자유구역청 보도자료(2021.08.08.).
  • “경기신용보증재단, 국민은행·하나은행과 ‘ESG경영·K-뉴딜기업의 전략적 육성’ 맞손”, 경기신용보증재단 보도자료(2021.07.28.).
  • “국내 ESG펀드 순자산 8조 육박...1년간 500% 폭풍 성장”, 서울경제(2021.12.28.).
  • “금융권 첫 공공 「ESG 정보 플랫폼」 서비스 개시”, 금융위원회 보도자료(2021.12.17.).
  • “기업들 너도나도 ESG 경영, 왜 중요한가?”, 우리문화신문(2021.03.06.).
  • “독일의 ESG 최신 동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시장뉴스(2021.05.02.).
  • “동반성장위원회, 협력 중소기업 ESG 지원에 앞장서다”, 동반성장위원회 보도자료(2021.04.18.).
  • “동반성장위원회-LG화학, 「2021년도 협력사 ESG 지원사업」 협약 체결”, 동반성장위원회 보도자료(2021.08.24.).
  • “사례로 보는 미국의 ESG 도입현황”,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시장뉴스(2021.05.12.).
  • “사례로 보는 스웨덴의 ESG 현황”,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시장뉴스(2021.08.31.).
  • “사례로 알아보는 일본 기업의 ESG 전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시장뉴스(2021.08.31.).
  • “선진기업들은 ESG에 어떻게 대응하나”, 중소기업신문(2021.11.11.).
  • “신용보증기금, ESG경영 보증 우대 제도 도입으로 중소기업의 ESG경영 확산에 박차”, 신용보증기금 보도자료(2022.02.03.).
  • “우리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는 관계부처 합동 ‘K-ESG 가이드라인’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1.12.02.).
  • “중소기업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준비 민·관 협의회 발족”, 중소기업벤처부 보도자료(2021.11.24.).
  • “중진공, 정책자금 지원기업 ESG 성과지표 분석”,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보도자료(2021.09.24.).
  • “지구인컴퍼니, 280억원 규모 추가 투자 유치”, 플래텀(2021.10.29.).
  • “탄소중립 시대 지속가능경영 추진 지원 - 2020 지속가능경영 유공 정부포상”,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2020.12.09.).
  • “통합공시를 통해 공공기관의 ESG 경영 선도 –공공기관 알리오(Alio) 통합공시 기준 개정-”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2.02.07.).
  • “프랑스 ESG 정책동향 및 기업 대응사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시장뉴스(2021.08.31.).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제시…녹색금융 활성화 기대”, 환경부 보도자료(2021.12.30.).
  • “ESG 경영, 중소기업이 수행했을 때 좋은 점 3가지는? ‘폭넓은 투자자 유치+경쟁우위 창출+우수 인재 유치’”, 사례뉴스(2021.09.01.).
강철구 cgkang@gri.kr

1999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에서 행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동해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한국환경정책학회 총무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다. “경기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2023), “경기도 ESG 행정체계 구축방안 연구”(2023), “경기도 기후대응기금 조성 및 운용방안 연구”(2023),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경기연구원”(2022), “경기도의 기업 ESG 도입 방안 연구”(2022) 등 다수 정책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도시 및 환경정책, ESG, 수소경제 등이다.

고재경 kjk1020@gri.re.kr

2001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기후변화·에너지 정책, 거버넌스, 지속가능발전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광역자치단체 온실가스 배출량과 경제성장의 탈동조화 분석”(2022, 공저) “공동체 에너지 시민참여와 확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재생에너지 협동조합을 중심으로”(2019, 공저),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 거버넌스 변화 연구”(2017) 등이 있다.

안찬중 ckswnd5@gmail.com

2021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 전공)에서 이학석사학위를 받았다. 부경대학교 환경해양과학기술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에서 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에서 전문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경기도의 기업 ESG 도입 방안 연구”(2022)”,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정책 효과분석(2023)”, “제4차 계절관리제 기간 정책 효과분석(2023)” “대기환경연·월보, 대기환경측정망 설치·운영지침”(2023) 등 다수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미세먼지 생성 및 제거 메커니즘 분석이다.

예민지 ymj472@gri.re.kr

2018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기연구원 연구원으로 재직중이며, 주요 관심분야는 기후변화·에너지 정책, 환경경제, 지속가능발전이다. 석사학위논문은 “1인 가구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2018)이다.

<그림 1>

<그림 1>
기업의 ESG 최근 핵심과제자료 : 저자 작성(2023).

<그림 2>

<그림 2>
중소기업의 ESG 도입 취약성자료 : 저자 작성(2022).

<그림 3>

<그림 3>
ESG 개념 이해의 틀자료 : 강철구 외(2022). “공공기관 ESG 첫걸음은 맞춤형으로”, 『이슈&진단』, No.511, 경기연구원.

<그림 4>

<그림 4>
기업의 ESG 경영 도입 필요성자료 :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1).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그림 5>

<그림 5>
중소기업의 ESG 도입 필요성자료 : 대한상공회의소(2021). 『중소기업 ESG 확대방안』.

<그림 6>

<그림 6>
분석의 틀자료 : 저자 작성(2023).

<그림 7>

<그림 7>
ESG 개념 인식정도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8>

<그림 8>
ESG 경영 준비 수준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9>

<그림 9>
ESG 경영 도입 및 실천 애로사항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10>

<그림 10>
ESG 요소 중 도입 우선순위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11>

<그림 11>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및 확산을 위한 정책수요자료 : 본 연구 설문조사 결과.

<그림 12>

<그림 12>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비전, 목표자료 : 저자 작성(2022).

<표 1>

주요 조사항목

구분 주요 내용
자료 : 저자 작성(2022).
응답기업 현황 업종, 종사자 수, 매출액, 공급망 구조
ESG 경영 인식도 인식정도, 중요도, 추진사유
ESG 경영 준비도 기업의 준비 정도, 애로사항, 경기도의 지원수준
ESG 경영 정책수요 경기도의 역할 필요성, 경기도의 지원정책 방향

<표 2>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추진과제

전략 추진과제
자료 : 저자 작성(2022).
수요자 맞춤형 지원 ① ESG 경영 인식확산 방법 개발 및 지원
 · 중소기업 대상 ESG 교육ㆍ컨설팅 확대 우선적 실시
 · ESG 아카데미 개설ㆍ운영
 · 중소기업 CEO ESG포럼 창설ㆍ운영
 · 알기쉬운 ESG 가이드북 및 우수사례집 발간ㆍ배포
 · 대한상공회의소 등 중앙 각급기관 기 제공 자료 토대 한눈에 보는 교육자료 제작 활용 홍보
 · 중소기업 유형별 차별화 맞춤형 ESG 인식 저변 확대 방안 실시
② E(환경)에 역점을 둔 지원 강화
 · 친환경 공정설비 전환 및 구축 지원
 · 탄소중립 달성 중점 지원
 · 수요에 기초한 우선순위 분야별 집중 지원
 · 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E(환경)부분 맞춤형 지원 추진
③ S(사회), G(지배구조)부분 요소 중 우선순위 중요 분야 중점 지원
④ 중소기업의 최우선 정책 수요에 집중 지원 추진
ESG 활성화 기반 구축 ① 대외적 활성화 기반 구축
 · 경기도 중소기업형 ESG 평가 관리지표 마련 및 활용 홍보
 · 경기도 중소기업 ESG 경영 가이드라인 마련
 · 경기도 중소기업 ESG 민관협의회 구성ㆍ운영
 · 경기도 중소기업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
 · 경기도 ESG 투자펀드 조성
② 대내적 활성화 기반 구축
 · 중소기업 ESG 경영 ‘경제적 지원 프로그램’ 확대 도입
 · ESG 우수 중소기업 인증 및 홍보 강화
 · ESG 우수 중소기업 가산점 및 공공조달 확대
 · ESG 경영 보증우대제도 도입
 · 지원 관련 제도적 기반 수립
중소기업 자체 대응역량 강화 ① 경영진의 ESG 인식제고와 최소담당 인력 지정 배치
② ESG 요소별 중요 평가지표에 대한 자체 준비 대응력 강화
③ E(환경)부분 자체 대응전략 강화
④ ESG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가진단 실시 활성화
⑤ 대-중소기업 ESG 협업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