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학술지홈페이지
[ Article ]
GRI REVIEW - Vol. 26, No. 2, pp.271-287
ISSN: 2005-8349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y 2024
Received 09 Apr 2024 Revised 02 May 2024 Accepted 09 May 2024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한 기대가치 인식 변화

손원호* ; 양재영**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조교수(제1저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강사(교신저자)
Changes in Perception of Expectancy Value Thr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s
Won Ho Son* ; Jae Young Yang**
*Assistant Professor. Dept, of Recreation and Leisure Sports, Dankook University(First Author)
**Lecturer. Dept, of Physical Education, Sejong University(Corresponding Autho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여 인식한 기대가치 변인들에 대한 변화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G도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남:72명, 여: 51명; 4학년 32명, 5학년 45명, 6학년 46명)으로 구성된 총 123명 이었다.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풋살, 축구, 피구, 농구, 티볼, 킨볼, 줄넘기, 탁구, 배드민턴 등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클럽 활동이 시작하는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에서 기대가치 변인들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설문지는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에서 중요성과 흥미 요인의 인식이 활동 참여 기간을 가로질러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지도교사들이 활동에 대한 건강증진과 정서적 안정 및 학업능력 향상 차원에서의 중요성을 주기적으로 부각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새롭고 도전적인 활동 내용과 다양한 교수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활동에 대한 재미와 즐거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업을 조직해 나간다면 이는 활동에 대한 적극성과 연속성을 이끌 수 있는 좋은 교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expectancy value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s.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123 students in 4th to 6th grade (72 males, 51 females; 32 4th graders, 45 5th graders, 46 6th graders) enrolled in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do.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such as futsal, soccer, dodgeball, basketball, T-ball, kinball, jump rope, table tennis, and badminton for one semester. The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on expectancy value variables both at the beginning and end of club activitie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analyzed using a paired-samples T-test. I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perceived importance and interest factor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hanged across the period of activity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periodicall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lub activities in terms of improving health, emotional stability, and academic ability.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for the instructors to organize the class by using new and challenging activity content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maintain fun and enjoyment in the activities. Then, it can be a good teaching strategy that can lead to activeness and continuity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y.

Keywords:

school sports club,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ctancy value, physical education, interest

키워드:

학교스포츠클럽, 초등학생, 기대가치, 체육, 흥미

Ⅰ. 서 론

최근 초등학교 교육실태와 상황을 살펴보면 학교생활의 원활한 적응을 위한 교우관계와 사회성 부족, 사이버 폭력, 이기주의 등 학교 및 사회생활의 핵심가치에 해당하는 인성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그 정도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서명일, 2022). 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발달과 더불어 나타나는 생활양식과 가치관의 변화, 개인주의적 성향, 공동체 의식의 결여, 과잉경쟁 등 사회적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측면이 강하며 향후 학생들의 사회적, 정서적, 그리고 신체적으로 건강한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고 바라볼 수 있다(양재영·임승엽, 2021).

실제로 2023년 국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생 인구에서 대인관계 문제, 괴롭힘 및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10명 이상이 자살을 했고, 보다 심각한 것은 그를 시도하거나 생각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다고 보고되었다(통계청, 2023).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크게 발달하는 과정에 있으며 아울러 미성숙한 시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대한 즐거움과 만족감을 통해 건강한 성장의 발판과 기회를 확대시켜 나갈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이 관심과 즐거움, 재미 등을 경험할 수 있는 여러 체육활동의 참여는 학교생활에서의 정서적 안정과 만족감, 사회성, 협동심, 문제해결능력 등 다양한 경험과 도전을 통한 전인적 발달에 매우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손혁준·박용남, 2022).

그러한 관점에서 정규교육과정 내에서의 체육교과수업과 더불어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회적 병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해결방안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실행이 교육부로부터 정책적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 측면에서도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양재영·황규영, 2023). 학교스포츠클럽은 학생 개인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는 체육활동으로 개인적 만족감이 높으며 또한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 및 신체적 건강에 큰 기여가 가능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양재영·황규영, 2023). 특히나 초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미성숙한 발달과정에 있기에 이성적인 판단이나 행동이 아닌 본인 스스로 내면에서 생성되는 감정이나 생각을 신체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 학교스포츠클럽과 같은 선택적 체육활동은 심신의 건강과 정서 순화 및 동료와의 교류와 소통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적절한 도구로 그 효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바라볼 수 있다(이현정, 2018).

체육학 연구자들에 의하면 학생들의 체육활동 참여 및 지속을 결정하는 중추적 요인으로 학생 개인의 심리적 과정(변인) 변화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양재영·허승은·박성한·문황운, 2017). 즉 체육활동 참여에 있어 학습자의 심리과정과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참여 원인과 적극성 및 연속성을 이해하고 제고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어떠한 이유로 학습자가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자신의 활동 수행에서 무슨 생각과 판단을 하며, 왜 활동의 지속을 결정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Yang, 2016). 여러 심리적 변인 가운데 국내의 체육 및 스포츠 교육 환경에서는 동기,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 정서 등과 같은 일부 한정된 심리적 특성을 토대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지만 기대가치이론의 변인을 기초로 체육활동 학습이나 수행에 미치는 영향 또는 효과를 탐색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바라볼 수 있다(양재영, 2019).

기대가치(Expectancy Value)이론은 체육활동에서 학습자들이 활동 참여를 원하는지의 여부, 활동 수행에서 노력의 정도 그리고 활동 참여의 지속을 결정하는 요인은 그러한 활동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능력과 성공에 대한 믿음 그리고 그 활동에 대해 자신이 지지하는 가치의 정도에 따라 성립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Eccles and Wigfield, 1995). 보다 세부적인 수준으로 설명하면 기대가치는 체육활동 수행에서 학습자들이 갖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성공 가능성에 대한 기대믿음 그리고 체육활동 참여를 향해 개인적으로 내포할 수 있는 가치 인식을 포함하며 이러한 가치 인식은 활동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달성가치, 활동에 대한 흥미를 뜻하는 내적가치, 아울러 활동에 대한 유용성을 함의하는 활용가치 등의 세 가지 가치로 구분되어 진다(최진훈·양재영·정주호, 2018). 기대가치는 체육활동에서 학습자가 주어진 과제를 잘 수행하고 지속하는지에 대한 여부는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의 정도와 과제목표 달성에 부여하는 가치 수준에 따라 결정지어 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적극성, 자기조절력, 과제 성취도, 활동 지속성 등을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 왔다(최진훈·양재영·정주호, 2018; 양재영, 2019).

이와 같은 기대가치 변인을 바탕으로 체육교육환경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조홍식(2015)은 중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 변인이 학업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고 그에 따른 결과에서 학생들의 학업적 헌신, 효능감, 몰두, 활기 등의 학습 요인에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승만과 이철화(2018)는 중등학교 체육수업 활동에서 학생들이 지각한 기대가치 요인들이 미래 스포츠 참여의지에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에서 향후 스포츠 활동에 대한 지식 탐색, 태도 변화, 실제 참여 등에 생산적 효과가 가능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이에 더해 백준형(2020)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팀 스포츠에 참여한 학생들의 내적동기 및 기대가치 변인들에 대한 인식 수준을 탐색하였고, 결과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팀 스포츠 활동에 대한 흥미 수준이 더 높고 또한 활동 수행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성공 믿음이 높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더 나아가 양재영(2019)은 대학교양체육수업에서 여대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 변인과 자기효능감이 그들의 체육활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에서 내적가치에 속하는 흥미 요인과 자신의 활동 능력에 대한 긍정적 믿음 요인이 향후 체육활동에 대한 지속성을 설명해주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현재까지 체육교육환경을 기초로 검토된 내용을 살펴보면 기대가치 변인을 토대로 수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 논할 수 있으며 특히 학교정규체육수업 활동이 아닌 생활체육 영역에 속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배경으로 수행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초등학생들의 체육활동은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 만족 그리고 사회화 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입장에 비추어 보면 그들이 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적극성을 가지며 또한 그 지속을 결정하는지 심리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정규체육수업으로의 자연스러운 연계 그리고 선순환적인 연속성을 이끄는데 있어 상당한 기여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조사는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 요인에 대한 변화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몰입도, 적극성, 충실성, 지속성 등을 결정하는 심리적 매커니즘(Mechanism)을 토대로 클럽 활동에 대한 지도방식과 내용 그리고 효율적 수업을 이끌어 가는데 필요한 정보와 지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 변인들에 대한 변화 수준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구체적 수준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자기 능력 및 성공에 대한 믿음 인식 수준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흥미 인식 수준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중요성 인식 수준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유용성 인식 수준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남부지역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서 4-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로 구성되어졌다. 학생들은 풋살, 축구, 피구, 농구, 티볼, 킨볼, 줄넘기, 탁구, 배드민턴 등을 포함하는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한 학기 동안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한 학기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이 시작되는 시점 그리고 종료되는 시점 각각에서 설문자료에 응답하였고 시작과 종료 시점을 바탕으로 3명의 학생은 불성실한 응답 또는 누락으로 제외되어 총 123명 학생들의 설문자료가 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성별 인원은 남학생이 72명, 여학생이 51명으로 구성되었고, 학년별 인원은 4학년 32명, 5학년 45명, 6학년 46명을 내포한다<표 1>.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연구도구

기대가치 이론에서 내포하는 기대변인인 자신의 능력과 성공적 믿음 그리고 활동 과제를 향한 가치 변인을 포함하는 세 가치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Eccles과 Wigfield(1995)이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 대상자와 환경에 부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기대변인을 의미하는 자신의 능력 및 성공적 믿음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총 5문항이 사용되었으며 그에 대한 문항의 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자신의 수행 능력이 다른 동료들에 비해 좋다고 생각하나요”로 표현되었다. 각 설문의 문항은 1의 “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5의 “매우 그렇다”에 기재하는 5점 척도 기입 방식을 사용하여 그에 대한 반응이 측정되었다. 아울러 활동 과제에 부여하는 세 가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흥미 요인 2문항, 중요성 요인 2문항, 유용성 요인 2문항을 포함한 총 6문항이 사용되었다. 흥미 문항의 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이라는 질문에 대해 “1=매우 재미없다”에서 “5=매우 재미있다”에 표기하는 5점 척도 방식이 사용되었고, 중요성 문항의 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잘 하는 것은...”이라는 질문에 대해 “1=매우 중요하지 않다”에서 “5=매우 중요하다”의 5점 척도에 반응하는 5점 척도가 활용되었고, 마찬가지로 유용성 문항의 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배우는 것은...”이라는 질문에 대해 “1=전혀 활용할 가치가 있지 않다”에서 “5=매우 활용할 가치가 있다”에 기입하는 5점 척도 표기 방식을 활용하여 측정되었다<표2>.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본 연구 환경 및 대상자와 비슷한 조건에서 수행한 Gao, Lodewyk, and Zhang(2009)의 연구와 Xiang, McBride, and Bruene(2004)이 수행한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설문 문항 내용

3. 연구절차

연구자는 설문자료 수집 전 각 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수업 담당자들과 개별연락을 취하여 자료 수집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자는 한 학기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이 시작되는 시점 그리고 종료되는 시점에서 설문자료를 배포하였고 설문자료 배포 전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 목적과 내용 및 활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설문 내용에 대한 정답이나 오답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아울러 응답 방법과 익명성 보장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자발적 동의를 구한 후 설문 자료를 배포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솔직하게 응답해 줄 것을 당부하였고, 이에 더해 설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의문 사항이 있으면 손을 들어 자신의 의사를 표해 줄 것을 공지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각각의 설문 문항 작성에 소비한 시간은 대략 15분 정도였으며 작성된 설문자료는 그 자리에서 연구자에 의해 바로 수거되어 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4. 연구분석

연구 대상자로부터 모아진 설문자료는 개인 컴퓨터 내에 설치된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위한 코딩 작업이 수행되었다. 코딩 작업을 완료한 후 Amos 27 버전을 사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 기대가치 4개의 구인들에 대해 이론적 원리로 설정된 구조적 타당도 검증을 실행하였다. 또한 SPSS 27 버전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작업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연구문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수행하여 그에 대한 해답을 도출해내었다.


Ⅲ. 연구결과

1. 예비분석(Preliminary Analysis)결과

기대가치 구인들이 그 이론적 구조에 대해 적합한 타당도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에서 사전<표 3> 및 사후<표 4> 각각의 결과는 그 이론적 조건에 부합하여 적절한 수치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대가치 구인들의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사전)

기대가치 구인들의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사후)

또한 각 구인들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 사전 및 사후 각각의 결과는 그 기준치(.70)를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5>.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결과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흥미 요인에 가장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기대믿음 요인에 참여 전과 후 모두 가장 낮은 인식 수준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그 자체에 재미나 즐거움 등의 인식이 비교적 높았음을 의미하며 아울러 상대적으로 활동 수행 경험에서 자신의 능력이나 성공 인식에는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표 6>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각각의 변인들은 모두 그 이론적 원리에 부합하여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444∼.693).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사전)

또한 사후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도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이론적 원리에 부응하여 각각의 변인들은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401∼.675).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사후)

3. 대응표본 T-test 분석 결과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후 자신의 능력과 성공 기대믿음에 대한 변화를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표 8>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자신의 능력과 성공의 기대믿음 변화 결과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중요성 요인에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표 9>에 나타난 것처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중요성 인식 변화 결과

아울러 학생들이 인식한 흥미 요인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검증되었다<표 10>.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흥미 인식 변화 결과

끝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학생들의 유용성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유용성 인식 변화 결과


Ⅳ. 논 의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한 학기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해 기대가치 이론에 속하는 변인들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결과에서 학생들은 중요성 및 흥미 요인 인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수업 참여에서 활동 수행을 통해 개인적으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가치나 의미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하며 이는 수업 환경을 통해 그러한 인식의 자극이나 지지는 학생들의 적극성이나 노력 및 몰입성을 높이는데 생산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활동에 대한 관심, 즐거움, 재미 등에 대한 인식 수준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크게 발생했음을 증명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업 환경에서 지각할 수 있는 흥미 수준이 향상되면 보다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활동 참여가 가능할 수 있음을 함의해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의 연구문제 결과에서 한 학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능력 및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 정도는 그 기간을 가로질러 유의한 수준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은 클럽 활동 참여기간 동안 학습 및 활동 수행에 있어 자신의 능력이나 성공에 대한 확신에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비슷한 맥락에서 수행한 선행연구에 비추어 해석하면 백준형(2020)이 중학생을 대상으로 3주 간의 스포츠 활동 참여 후 기대가치 변인들에 대한 변화 수준을 조사하여 그 수준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한 내용과 일맥상통한 결과라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심리 및 신체 발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초등학생들은 인지적, 심리적, 신체적 발달이 크게 일어나는 시기이고 자신의 운동 및 신체적 능력에 대해 효능감이나 효율성이 높거나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개연성이 청소년이나 성인보다는 낮을 수 있음을 보고한 선행연구(권순직·정구인, 2014; 신정호·유생열·송우엽, 2001)와 그 맥을 같이 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서 인식한 중요성 가치는 활동 기간을 거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 수준에서 증가한 것으로 표출되었다. 초등학생들이 체육활동 참여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중요성 요인을 살펴보면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수준에서 자신의 건강증진, 교우관계 개선,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김옥현, 2019; 유생열·엄혁주·박중길, 2011). 이러한 측면과 관련하여 진은정(2011)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무용활동 수업에서 학습 동작에 대한 중요성을 일상활동과 연계하여 인식한다면 활동 참여에 대한 적극성과 노력 수준이 높아지며 이에 더해 신체적 자기효능감도 제고될 수 있음을 입증해주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풀어보면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 대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심신과 사회적 기술 및 행동에 유익하거나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긍정적인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실증해 주었다. 아울러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결국 학교스포츠클럽 수업활동에 대한 몰입이나 열중 그리고 태도가 호의적이거나 적극적으로 증대될 수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함의해 주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흥미 수준은 그 기간을 가로질러 상대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은 체육수업에서 즐거움, 재미, 흥분이나 신남 등의 긍정적 정서가 내재되었을 때 활동 참여에 대한 호의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활발한 움직임 및 역동성을 보인다고 선행연구에서 보고되었다(권순직·정구인, 2014). 비슷한 맥락에서 성창훈·백성수(2000)는 어린 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내재할 수 있는 흥미 요소는 여러 과제내용, 다양한 수업방식, 운동의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 체험, 교사로부터 인정, 경쟁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해 설명해 주었다. 이와 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를 해석해보면 초등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대한 즐거움, 욕구 및 선호도가 좋았고 활동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정도가 강해지게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아울러 도전적인 수업활동 내용 지각과 신체적 및 심리적 이득 등을 체험하였을 개연성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학교스포츠클럽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이 지각할 수 있는 흥미나 재미 요인이 강조된다면 보다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새로움, 도전, 즐거움, 기쁨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수업내용 구성과 전달을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전개해 간다면 학생들은 보다 높은 관심과 긍정적 정서의 내재화로 적극성 뿐만 아니라 활동 참여에 대한 연속성도 이끌 수 있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양재영·황규영, 2024).

넷째,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해 활동에 대한 유용성 인식 수준에 있어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키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이나 고등교육 체계에 속한 대학생들과는 달리 초등학생들은 체육활동 참여를 통해 즐거움, 기쁨, 오락, 희열 등의 원초적 가치를 인식하는 경향이 높고 체육활동을 자신 삶의 한 부분으로 활용하여 건설적 가치나 유용화로 내면화하기에는 익숙하지 못하고 또한 그에 대한 경험적 측면에서도 부족함이 존재한다는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양재영, 2019). 보다 풀어서 설명하면 초등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습관화하여 개인적 삶에 대한 영양분이나 활력을 위한 일환으로 병합하여 인식 또는 내면화하기에는 성숙도적인 면에서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지도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지도교사들은 학기 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학생들에게 잘 인식시키고 또한 학습활동 지도 시에도 이를 주기적으로 환기 및 반영하여 학생들이 이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활동 참여에 대한 자발성과 학습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더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조직에 있어 주기적으로 새롭고 창의적인 내용을 반영하여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기구 및 도구를 학습 환경에 적합하도록 활용하여 학생들이 흥미와 즐거움을 유지하며 참여를 가져갈 수 있도록 교수 방법에 연속적인 변화를 가져가는 것이 요구된다. 게다가 초등학생들은 체력 수준이 낮고 및 운동기술 학습이 다소 느리기에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옮겨가는 단계적인 지도, 내용에 따라 변화하는 지도, 시설이나 용구를 충분히 활용하는 지도, 운동 수행에 대한 공포심을 갖지 않게 하는 지도, 개인차를 파악하여 끊임없이 기술을 높여주는 지도 등을 고려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피드백 제공 시에도 개별적인 수준에서 구체적이고 차등화 하는 전략이 활동에 대한 재미와 적극성을 발휘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손원호·양재영, 2023). 끝으로 학생들과 함께 명확한 목표와 기대치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하여 점진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고, 목표는 스포츠 기술 향상 뿐만 아니라 팀워크, 리더십, 자신감 증진 등의 개인적인 발전에도 초점을 맞추는 것이 전인적 발달에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경기도 내에 소재한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활성화와 지속성 제고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었지만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있어 몇 가지 제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기에 그 결과를 다른 시·도 및 지역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지닌 대상자들에게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점을 내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특정 스포츠 종목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기에 다른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일반화할 수 없는 제한점을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및 학년별 분석)과 지역적 환경 그리고 스포츠 유형(팀 스포츠, 개인 스포츠, 대인 스포츠)을 바탕으로 본 연구 수행에 대한 확장성을 가져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아울러 향후 연구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의 실제적 참여 지속성을 본 연구 변인과 연계하여 조사하는 것은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외적 타당도를 제고하는데 있어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기대가치 변인의 인식 변화를 탐색하여 학습 활동에 대한 적극성과 참여 연속성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었다. 결과에서 학생들이 클럽 수업 환경에서 활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심신의 건강 및 교우관계 개선 그리고 학업능력 향상 등과 같은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교사들은 학기 초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주기적으로 강조하고 주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클럽 활동에 대해 관심, 즐거움, 재미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수업 활동을 적절한 기간에 따라 새롭고 도전적인 내용으로 구성하고 지도 방법에 있어서도 수업 내용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생들의 수행 수준과 성별에 따라 구체적이고 차등화한 맞춤형 피드백 제공도 학생들이 학습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좋은 교수 전략이 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교수 활동 및 전략은 초등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개인적 의미와 즐거움을 내면화하여 보다 자발적이고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지렛대(Leverage)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렇게 내재화된 호의적 정서와 태도는 연속적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지도자들에게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지도를 효과적으로 가져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재교육 및 워크숍(Workshop) 등의 정책적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이를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학습 및 프로그램의 질은 한층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권순직·정구인(2014). “초등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재미요인”, 『한국초등교육』, 25(3): 149-165.
  • 김옥현(2019). “중학생들의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8(4): 55-72.
  • 백준형(2020). “팀 스포츠교육을 통해 인지된 내적동기 및 기대가치”,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4(1): 161-179.
  • 서명일(2022). “초등학생 우슈 수련의 재미요인이 참여 만족, 운동지속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24(4): 95-107.
  • 성창훈·백성수(2000).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2): 99-116.
  • 손원호·양재영(2023). “대학생들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대학교양체육활동 수행 인식력 차이”, 『GRI 연구논총』, 25(3): 121-138.
  • 손혁준·박용남(2022). “초등체육수업의 진단과 개선 과제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6(5): 415-428.
  • 신정호·유생열·송우엽(2001). “스포츠심리학: 초등학생의 신체 유능성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263-274.
  • 양재영(2019).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여대생들이 인식한 자기효능감과 기대가치가 활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129-140.
  • 양재영·임승엽(2021). “중학생들의 학교폭력 주변인으로서의 인식 탐색”, 『한국사회』, 22(2): 75-101.
  • 양재영·허승은·박성한·문황운(2017).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6(2): 739-749.
  • 양재영·황규영(2023). “고교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자기조절동기 수준 변화”, 『한국스포츠학회지』, 21(3): 115-123.
  • 양재영·황규영(2024).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고교생들이 인식한 지도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22(1): 105-113.
  • 유생열·엄혁주·박중길(2011).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체육 자아탄력성의 역할”,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2(4): 169-182.
  • 이승만·이철화(2018). “중·고등학생의 체육수업 기대-가치 지각과 미래 스포츠 참여 의지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163-183.
  • 이현정(2018). “학교스포츠클럽 중 무용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정서가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2): 411-419.
  • 조홍식(2015). “체육 수업에 대한 기대-가치 지각과 학생들의 학업 열의와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3): 181-192.
  • 진은정(2011). 『표현활동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 수업참여 의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진훈·양재영·정주호(2018). “대학교양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이론 변인들이 체육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역할”, 『한국체육과학회지』, 27(5): 909-917.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18&conn_path=I2, 통계청(2023). 사망원인통계조사.
  • Eccles, J. S. &Wigfield, A. (1995). “In the Mind of the Actor: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Achievement Task Values and Expectancy-Related Belief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3): 215-225.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3003]
  • Gao, Z., Lodewyk, K. R. & Zhang, T.(2009). “The Role of Ability Beliefs and Incen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tention, Cardiovascular Fitness, and Effor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8(1): 3-20. [https://doi.org/10.1123/jtpe.28.1.3]
  • Xiang, P., McBride, R. E. & Bruene, A.(2004). “Fourth Graders’ Motivation in 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Running Program”,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4(3): 253-266. [https://doi.org/10.1086/499752]
  • Yang, J. Y(2016). “Research for Initiative Games: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869-887.
손원호 sonnyson@naver.com

2017년 단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생활체육, 스포츠복지, 스포츠정책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 효과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2022),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체육 및 요양원 트렌드 분석”(202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노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수원시 도시재생사업계획을 중심으로”(2022), “규칙적인 걷기운동과 저강도 운동이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수준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2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양재영 bestyang95@naver.com

2014년 Texas A&M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체육교수 효율성, 체육 학습자 동기부여, 체육 학습자 인지과정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심리적욕구, 내적동기, 체육활동 지속성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2022), “중학생들의 학교폭력 주변인으로서의 인식 탐색”(2021), “효율적 체육교육에 대한 고찰”(2021)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표 1>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분 인원(명) 백분율(%)
성별 72 58.6
51 41.4
학년 4 32 26.2
5 45 36.5
6 46 37.3
활동 풋살 17 13.8
축구 21 17.0
피구 11 8.9
농구 12 9.8
티볼 12 9.8
킨볼 10 8.2
줄넘기 10 8.2
탁구 12 9.7
배드민턴 18 14.6
총합   123 123

<표 2>

설문 문항 내용

구분 설문 문항
연구변인 기대변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잘 한다고 생각하나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자신의 수행 능력이 다른 동료들에 비해 좋다고 생각하나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수행 동작을 훌륭하게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기술 습득이 다른 동료들 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나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선생님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흥미 가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재미없다”로부터 “매우 재미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로부터 “매우 좋아한다”
중요성 가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 않다”로부터 “매우 중요하다”
다른 수업(예: 국어, 수학, 과학 등)활동과 비교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매우 중요하지 않다”로부터 “매우 중요하다”
유용성 가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배우는 것은... “전혀 활용할 가치가 없다”로부터 “매우 활용할 가치가 있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서 배운 동작들은... 향후 일상생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로부터 “매우 도움이 된다”

<표 3>

기대가치 구인들의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사전)

구분 χ² df CFI NFI IFI RMR RMSEA
계수 81.386 34 .951 .920 .952 .05 .09

<표 4>

기대가치 구인들의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사후)

구분 χ² df CFI NFI IFI RMR RMSEA
계수 53.503 34 .982 .951 .983 .03 .06

<표 5>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변인 M(SD)/사전 M(SD)/사후 α/사전 α/사후
기대믿음 3.45(0.83) 3.53(0.77) .91 .93
중요성 3.59(0.78) 3.77(0.69) .79 .79
흥미 3.63(0.94) 3.98(0.81) .82 .82
유용성 3.52(0.73) 3.64(0.71) .73 .88

<표 6>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사전)

연구변인 1 2 3 4
**p<.01
1.기대믿음 .628** .693** .444**
2.중요성 .601** .563**
3.흥미 .589**
4.유용성

<표 7>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사후)

연구변인 1 2 3 4
**p<.01
1.기대믿음 .513** .637** .401**
2.중요성 .543** .675**
3.흥미 .568**
4.유용성

<표 8>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자신의 능력과 성공의 기대믿음 변화 결과

Test M(SD) t df p
참여 전 3.45(0.83) -0.709 122 .48
참여 후 3.53(0.77)

<표 9>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중요성 인식 변화 결과

Test M(SD) t df p
*p<.05
참여 전 3.59(0.78) -1.989 122 .04*
참여 후 3.77(0.69)

<표 10>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흥미 인식 변화 결과

Test M(SD) t df p
**p<.01
참여 전 3.63(0.94) -3.430 122 .00**
참여 후 3.98(0.81)

<표 1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전과 후 유용성 인식 변화 결과

Test M(SD) t df p
참여 전 3.52(0.73) -1.462 122 .16
참여 후 3.64(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