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의 재등록 요인 : 기대가치이론을 토대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가 인식한 기대가치이론의 변인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G도 지역 3개의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수영, 피트니스, 에어로빅, 요가, 골프, 농구, 댄스, 탁구, 배드민턴)에 참여 중인 총 155명(남:88명, 여:67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동안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작성된 설문자료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이 인식한 내적가치(흥미), 성과가치(개인적 중요성), 실용가치(유용성) 등의 요인이 프로그램 재등록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이 수업에서 다양한 교수방법과 수업내용 및 적절한 매체 사용, 체육활동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이득, 개인적 목표에 따른 지도, 그리고 학습자들의 인구사회학적(연령, 성별, 직업, 건강 및 체력 상태) 특성에 따라 본업과 일상생활 변화(활력과 적극성)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가르치는 것이 향후 프로그램 재등록 제고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register in the sports program,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expectancy value theory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life sp orts cent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155 people (male: 88 and female: 67) engaging in programs (swimming, fitness, aerobics, yoga, golf, basketball, dance, table tennis, and badminton) of three sports centers in the 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during the engage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actors such as internal value (interest), performance value (personal importance), and practical value (utility)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re-register the program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ports center instructors can effectively increase re-registration by the use of various teaching methods, diverse class contents, and appropriate media, the emphasis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benefits related to physical activities, and instruction based on persona goals. Additionally, it is helpful for the instructors to support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can act as a positive factor in changing their job capability and daily life (vitality and activenes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gender, occupation, and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s).
Keywords:
sports center, expectancy value, re-registration, physical education, coach키워드:
스포츠센터, 기대가치, 재등록, 체육, 지도자Ⅰ. 서 론
최근 현대인들은 개인적 욕구를 충족하고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점점 더 기울이고 있다. 특히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념으로 워라밸(work-life balance)과 웰빙(well-being) 추구가 현대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과 운동에 대한 관심도가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권기성·김지훈, 2022). 이와 같은 배경에서, 건강 및 체력 증진과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바라볼 수 있다(정미남·김지태, 2023).
지역 내 생활스포츠센터는 기본적으로 남녀노소 이용 가능한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울러 좋은 접근성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은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개인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 및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배용훈 외, 2024). 즉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제고시킬 수 있는 기회를 지역 생활스포츠센터가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생활스포츠센터는 다면적 측면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매개체로 작용하며 건전한 여가 활동의 사회문화적 수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정승훈, 2021).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생활스포츠센터는 현대인들의 건강과 사회문화적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러한 사회적 기여와 기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측면에서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 주제는 스포츠센터 시설 및 프로그램의 서비스적인 측면과 조직특성 및 직무행동과 관련된 내용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스포츠경영과 마케팅 관점에서 생활스포츠센터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고 이해할 수 있다. 생활스포츠센터의 궁극적인 목표가 지역민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제고라는 입장에서 바라본다면 실제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어떠한 생각과 견해를 갖게 되며 또한 참여 과정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 자신의 수행 진보와 가치 충족에 대한 지각은 향후 프로그램 재참여 및 체육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내면화에 중대하게 작용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대가치이론(Expectancy-Value Theory)은 모종의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보이는 학습활동에 대한 참여 수준, 학습활동에 대한 노력을 하고자하는 정도, 그리고 학습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수준은 그러한 학습활동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의 정도 그리고 그 학습활동 수행에 대한 가치 정도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Eccles and Wigfield, 2002). 이와 함께 이론에 따르면 주어진 과제 및 학습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과 수행에 대한 기대믿음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활동에 대한 적극성, 노력, 성취도 부문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며 아울러 도전적인 과제 및 상황에서도 집중력 및 수행 지속성이 높을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학습활동에 대한 재미(내적가치), 개인적 중요성(성과가치), 유용성(실용가치)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습태도와 학습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남을 주장한다. 바꾸어 말해 어떤 교육환경에서 학습자가 학습행동을 유발 및 지속하는지의 정도는 학습목표 달성에 대한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 그리고 그 목표에 부여하는 자신의 가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체육교육학 연구에 따르면 수업 목표에 대한 기대믿음과 가치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들은 보다 생산적이고 지속적인 학습효과 창출이 가능함을 증명해주었다(양재영, 2019: 최진훈 외, 2018).
한편 생활체육영역에서 스포츠센터 내 교육환경을 배경으로 수행된 선행연구 내용을 들여다보면 서일한(2023)은 지역 스포츠센터 축구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들을 바탕으로 참여 동기가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고 그에 따른 결과에서 참여 동기에 해당하는 흥미, 과시, 건강 등의 요인이 신체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와 한계극복 및 삶의 보람 등의 자아실현 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강상원 외(2016)는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을 바탕으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 및 건강증진 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서 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연계됨을 증명시켜 주었으며 이를 토대로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아가는데 유익할 수 있는 건강촉진 행동 유발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혀주었다. 또한 구우영와 임연희(2009)는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의 성별, 연령별, 직업별 변인에 따른 이용(학습) 만족 수준을 조사하였고 분석 결과에서 각 변인에 따라 서비스 만족, 지도자 만족, 시설 만족 등의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맥락에서 권아연과 최승재(2019)는 생활스포츠센터 학습자의 참여 원인과 재소비 행동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에서 교육 및 서비스 질과 시설 이용 만족도가 재이용 패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활스포츠센터 관련 선행연구는 주로 참여자의 심리·정서적 변인, 건강행동, 그리고 소비행동과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역량과 수행 그리고 그 활동에 부여하는 개인적 가치와 욕구를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며 특히 이러한 인식이 프로그램 재등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인식한 기대가치 변인들이 향후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인식한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은 재등록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인식한 흥미가치는 재등록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인식한 성과가치는 재등록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인식한 실용가치는 재등록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G도에 위치한 3개의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 각 스포츠센터는 각기 다른 생활체육 프로그램이 편성 및 운영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영, 피트니스, 에어로빅, 요가, 골프, 농구, 댄스, 탁구, 배드민턴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157명을 포함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90명, 여자가 67명, 연령대는 60대 3명, 50대 17명, 40대 35명, 30대 41명, 20대 39명, 10대 20명 그리고 수영 참여자는 42명, 피트니스 참여자는 36명, 에어로빅 참여자는 21명, 요가 참여자는 12명, 골프 참여자는 11명, 농구 참여자는 10명, 댄스 참여자는 9명, 탁구 참여자는 8명, 배드민턴 참여자는 8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비확률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 기간 중에 설문지에 응답을 하였고 이 과정에서 2명의 응답 자료는 불성실한 답변(남성 및 수영: 2명)을 보여 연구 분석에 활용된 총 인원은 155명(남: 88명, 여: 67명)으로 집계되었다<표1>.
2. 연구도구
생활스포츠센터 활동 수행에서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 변인 그리고 3개의 가치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Eccles and Wigfield(1995)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본 연구 대상자 및 환경에 부합하도록 수정과 보완 절차를 진행하여 사용하였다.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총 5개의 문항이 사용되었으며 그 문항의 예는 “다른 체육활동 프로그램과 비교해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 활동을 성공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다”로 표현되었다. 기대믿음 변인에 포함되는 각 문항은 1에 “매우 그렇지 않다”로 부터 5에 “매우 그렇다”에 기입하는 5점 척도 반응 방식을 사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졌다. 가치 변인의 측정은 내적가치 2문항, 성과가치 2문항, 실용가치 2문항을 포함하여 총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내적가치(재미) 문항의 예는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에서 배우는 내용은…”에 대한 응답으로 1(매우 지루하다)로부터 5(매우 재미있다)에 표기하는 방식으로 측정이 이루어졌다. 성과가치(개인적 중요성) 문항의 예는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 활동을 잘하는 것은…”에 대한 응답으로 1(별로 중요하지 않다)에서 5(매우 중요하다)의 응답 범위에 표기하는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실용가치(유용성) 문항의 예는 “다른 여가활동과 비교해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배우는 것은…”에 대한 응답으로 1(별로 유용하지 않다)로 부터 5(매우 유용하다)의 반응 범위로 서술되어 있는 형식에 표기하는 과정으로 그 측정이 이루어졌다. 설문지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는 본 연구 환경과 비슷한 조건에서 수행한 양재영(2019)의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재등록 의사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Xiang et al.(2003)이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 환경과 대상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과 보완 과정을 통해 사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3개의 문항을 내포하며 그 문항의 예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재등록할 것이다”로 표현되었으며 각 문항은 1=“매우 그렇지 않다” 로 시작하여 5=“매우 그렇다”로 표기된 범위의 반응 척도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그 측정이 이루어졌다.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최진훈 외(2018)의 연구를 통해 증명이 이루어졌다.
3. 연구절차
연구자는 설문자료 수집 전 각 스포츠센터를 방문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접촉하였고 이후 자료 수집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설문자료 배포 전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들에게 설문의 목적, 내용, 활용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고 또한 익명성 보장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고지해 주었다. 아울러 설문 내용에 대한 응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었으며 이에 더해 자발적 동의를 구한 후 설문자료 배포가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솔직하게 설문 내용에 응답해 줄 것을 당부하였고 설문 내용 또는 문항이 이해되지 않거나 의문이 있는 경우 손을 들어 자신의 의도에 대해 표출해 줄 것을 공지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설문지 작성에 소비한 시간은 대략 15분 정도였고 작성이 완료된 설문지는 그 장소에서 바로 회수가 이루어졌고 차후 연구 분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4. 연구분석
설문지에 의해 수집된 연구 자료는 우선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 내재되어 있는 엑셀(Excel)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딩 작업이 실시되었다. 그러한 과정 이후 Amos ver. 27.0을 활용하여 기대가치 각 구인들이 이론적 구조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행하였다. 또한 SPSS ver. 27.0을 사용하여 연구변인들의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각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s Analyses)을 실행하여 그에 따른 결과 값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조사가 이루어진 모든 통계분석 결과의 유의적 수준은 p<.05에서 결정되었다.
Ⅲ. 연구결과
1.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결과
기대가치이론 구인들이 그 이론적 구조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의 확인적요인분석 결과에서 각 구인들은 측정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χ²=119.587/df=38,[Q=3.14], CFI=.932, NFI=.905, IFI=.933, RMR=.03, RMSEA=.09).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 변인에 해당하는 기대믿음(α=.907), 내적가치(α=.803), 성과가치(α=.786), 실용가치(α=.901), 재등록 의도(α=.920) 등 모두는 그 기준치를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변인들을 인식한 수준에서는 모든 수치에서 중앙값(2.5)을 상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은 본 연구의 변인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 수준을 보인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적가치(M=3.81) 요인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재등록 의도(M=3.22)에 가장 낮은 수준을 드러냈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은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에서 흥미와 재미 등의 내적가치에 대한 내면화 정도가 매우 높았음을 의미하며 상대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후 재등록 의사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기대가치 이론의 이론적 원리에 상응하여 기대믿음, 내적가치, 성과가치, 실용가치 모두는 긍정적으로 서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477∼.656). 마찬가지로 기대믿음, 내적가치, 성과가치, 실용가치 모두는 향후 재등록 의도와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r=.486∼.627)<표2>.
2.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결과
기대가치 각 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종속 변인인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내적가치(β=.306, p<.001), 성과가치(β=.225, p<.01), 실용가치(β=.214, p<.05) 등의 요인이 향후 재등록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기대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한 모형 적합도의 결정계수(R2)는 .483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에서 지각한 흥미 등의 내적가치, 중요성 등의 성과가치, 그리고 유용성 등의 실용가치가 향후 프로그램 재등록에 미치는 영향력의 수준은 전체변량에서 48.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표3>.
Ⅳ.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인식한 기대믿음과 결과가치가 향후 프로그램 재등록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에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내적가치, 성과가치, 실용가치를 인식하면 이는 재등록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이 수업에서 재미와 즐거움을 유발시키기 위한 여러 교육방법과 내용의 활용,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이득,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누릴 수 있는 유익함 등을 강조하여 내면화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재등록 의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실증해주었다. 세부적인 수준에서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의 결과,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지각한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은 재등록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 동안 지도자나 사회·물리적 환경의 도움을 통해 형성된 자신의 수행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은 재등록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손원호와 양재영(2023)은 대학교 교양체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믿음 요인은 효율적 수행을 위한 인지적 기제로 작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보고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결과들은 기존 체육교육 환경에서 수행된 여러 연구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바라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더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수준에서 조사가 필요하며 이는 본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문제의 결과,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흥미, 재미, 즐거움, 만족 등 내적가치에 포함되는 긍정적 정서를 내면화할 경우, 이는 향후 프로그램 재등록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김인수, 2023; 양재영·황규영, 2023; 최헌혁·조승관, 2021)와 일치하며, 학습자들이 스포츠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지도자와 수업환경에서 인식한 내적 자극은 프로그램 재참여를 촉진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설명해주었다. 이를 교수-학습과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지도자는 다양한 교수법 사용과 새롭고 도전적인 학습내용, 지도내용에 따른 적절한 교구 및 매체의 활용, 개인별 수준에 맞춘 구체적인 피드백, 친근한 의사소통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프로그램 재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연구문제의 결과, 참여자들이 스포츠센터 프로그램 학습 중 성과가치를 인식하면 이는 재등록 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역할로 작용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성과가치는 개인적 중요성, 의미, 가치와 관련이 있으며, 학습자가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성취를 느낀다면 이는 프로그램 재등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손원호·양재영, 2024). 이를 지지하는 맥락에서 최진훈 외(2018)는 대학교 교양체육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이 체육활동에 대한 개인적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내면화하면 활동 지속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혀주었다. 즉 생활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이 학습자들에게 운동기술 발달, 건강 및 체력 증진, 체중 감량,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 대인관계 증진 등 실질적인 활동 참여의 이점을 체감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이는 프로그램 재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연구문제의 결과, 생활스포츠센터 학습자들의 실용가치 인식은 향후 프로그램 재등록 의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신의 현재와 미래 삶에 유용하다는 인식과 경험이 향후 프로그램 재참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양재영, 2020). 즉,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이 학습자들에게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삶의 활력, 행복감 그리고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 충족을 체감하도록 이끌고 도움을 준다면 이는 다른 여가·문화 활동 참여보다 상대적으로 더 유용하고 활용 가치가 높다고 인식하도록 인도할 수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 바라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학습자들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효용 가치를 높여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이끌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손원호·양재영, 2022).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생활스포츠센터 프로그램 지도자들이 학습자들의 재등록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전략을 제시한다. 먼저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새로운 교육내용의 도입과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하고 아울러 수업내용에 부합하는 교구와 최신 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도 시 친근하고 부드러운 언행으로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 도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대적 비교가 아닌 학습자 개인별 수준에 맞춰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과 정보 제공이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개인별 목표와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지도와 피드백 제공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지도자들은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별, 성별, 직업별, 건강 및 체력 상태)을 고려해 프로그램 참여가 일상생활 및 본업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지속적으로 주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프로그램 참여의 유용성(삶의 질 향상)을 부각시켜 줄 수 있다. 끝으로 지도자들은 프로그램 참여 전 학습자들이 참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의 이점을 소개하며 또한 주기적으로 이를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의 재등록을 높이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지만 그 결과를 해석함에 다소 주의점이 요구된다. 첫째, 본 연구결과는 횡단적(Cross-sectional)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했기 때문에 그 인과관계를 완전히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특정 지역의 거주자와 연령대를 포함하고 있기에 다른 지역과 연령대 참여자들에게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참여자들의 재등록 의사를 측정하였기에 높은 객관성을 확보하였다고 단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전향적 연구(Prospective study)를 통해 실제 재등록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Generalization)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 지역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대하고 세분화하여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본 연구결과에 대한 외적 타탕도를 높이는데 있어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른 사회·심리학적 변인(예: 지도행동, 동기)을 추가적으로 고용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본 연구에 대한 확장성에 상당한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생활스포츠센터 참여자들이 인식한 기대가치이론 변인들을 토대로 프로그램 재등록에 어떠한 영향력(기여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그에 따른 결과에서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에서 내적가치(흥미), 성과가치(개인적 중요성), 실용가치(유용성) 등을 인식하게 된다면 이는 재등록 의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력 발휘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즉, 생활스포츠센터 수업에서 재미, 즐거움, 흥미, 만족 등의 긍정적인 정서 내면화와 개인적 목표 및 이득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과 충실한 지도 그리고 자신의 삶과 일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건강 및 체력 증진에 도움되는 일상활동 및 영양 정보) 제공과 상호작용은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호의적이고 긍정적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재등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선순환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내적가치 인식이 생활체육 프로그램 재등록 의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도자들은 비판적 언행과 상대적 비교는 자제하고 친근하고 상냥하게 의사소통하며 개인적 수준 및 수행 정도에 따른 지도와 학습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교육내용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전개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내적 욕구 충족을 이끌어 프로그램 재등록을 유도하는데 큰 기여가 가능할 수 있다.
References
- 강상원·박종진·박상섭(2016). “스포츠센터 생활체육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 및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5(3): 379-388.
- 구우영·임연희(2009). “스포츠센터 운영관리에 대한 스포츠 소비자와 공급자간의 변인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6): 3405-3416.
- 권기성·김지훈(2022).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변화된 스포츠 활동 형태 분석: 건강 및 웰빙 관련 UN SDGs 의 스포츠 역할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33(2): 203-210.
- 권아연·최승재(2019).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소비자 행동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인문사회 21』, 10(3): 101-113.
- 김인수(2023). “체육수업에서 동료격려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즐거움이 노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8(5): 177-188.
- 배용훈·안시연·김상덕(2024). “생활체육 활성화가 지방정부 정책만족, 정부신뢰, 정당 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창원시를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47(1): 89-111.
- 서일한(2023). “스포츠센터 축구아카데미 참여동기가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2(1): 27-38.
- 손원호·양재영(2022).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신입 여대생들이 인식한 내적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활동지속성의 구조적 인과관계”, 『GRI 연구논총』, 24(4): 233-248.
- 손원호·양재영(2023). “대학교양체육 교수자의 관계성지지가 학생들의 좋은 수행을 위한 심리· 인지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21(2): 133-148.
- 손원호·양재영(2024). “초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한 기대가치 인식 변화”, 『GRI 연구논총』, 26(2): 271-287.
- 양재영(2019).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여대생들이 인식한 자기효능감과 기대가치가 활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129-140.
- 양재영(2020).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학생들이 지각한 자기조절동기와 자기효능감이 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239-248.
- 양재영·황규영(2023). “고교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자기조절동기 수준 변화”, 『한국스포츠학회지』, 21(3): 115-123.
- 정미남·김지태(2023). “생활체육 참여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62(5): 493-506.
- 정승훈(2021). “스포츠센터 관계유대와 긍정적 감정, 회원만족, 운동지속 및 추천의사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60(6): 101-118.
- 최진훈·양재영·정주호(2018). “대학교양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기대가치이론 변인들이 체육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역할”, 『한국체육과학회지』, 27(5): 909-917.
- 최헌혁·조승관(2021). “체육수업 참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즐거움, 자기기효능감, 학업노력, 그리고 수업몰입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32(2): 322-337.
- Eccles, J. S., & Wigfield, A. (1995). “In the Mind of the Actor: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Achievement Task Values and Expectancy-Related Belief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3): 215-225.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3003]
- Eccles, J. S., & Wigfield, A. (2002).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109-13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153]
- Xiang, P., McBride, R., Guan, J., & Solmon, M. (2003). Children’s Motiv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 Expectancy-Value Model of Achievement Choi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4(1): 25-35. [https://doi.org/10.1080/02701367.2003.10609061]
2017년 단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생활체육, 스포츠복지, 스포츠정책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 효과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2022),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체육 및 요양원 트렌드분석”(202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노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수원시 도시재생사업계획을 중심으로”(2022), “규칙적인 걷기운동과 저강도 운동이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수준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02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14년 Texas A&M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체육교수 효율성, 체육 학습자 동기부여, 체육 학습자 인지과정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학생들이 인식한 심리적욕구, 내적동기, 체육활동 지속성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2022), “중학생들의 학교폭력 주변인으로서의 인식 탐색”(2021), “효율적 체육교육에 대한 고찰”(2021)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