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센터 교사지지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센터 교사지지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원자료와 PROCESS Macro 방법을 활용하여 직접과 매개,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수준이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높이고, 이어서 학업열의의 수준을 높였음을 보여준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는 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통한 매개효과 모두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커졌다. 마찬가지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역시 교사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센터 서비스를 내실화하고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해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기 위해 센터 교사지지를 높이는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verifies the influe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o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by center teachers’ support. For the purpose, using raw data from the Child Panel Survey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PROCESS macro method, this study analyzed direct,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total effect o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Seco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on academic engagement. This means that the levels of center services increased the levels of self-esteem,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s of academic engagement. Third, center teachers’ support moderated both the total effect of center services on academic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Specifically, both the total and mediating effects became larger when the level of teachers’ support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engag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strategies to enhance center services and strengthen their self-esteem were discussed. In addition, to strengthen the positive influence of center services, strategies to increase center teachers’ support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s, academic engagement, self-esteem, center teachers’ support키워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학업열의, 자아존중감, 교사지지Ⅰ. 서 론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에 따라 설립되어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의 아동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 교육, 문화, 체육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전한 환경에서 아동이 발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4a). 2004년부터 지역아동센터가 신고제로 운영되면서 신규 센터가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 말 기준 전국에 총 4,253개소가 운영 중이며, 이용 아동 중 초등학생의 비율이 전체 이용 아동 수의 77.9%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23). 지역아동센터는 대부분 취약계층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용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이들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이들의 학교에서의 적응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최근 학업열의라는 개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업열의는 활력 및 헌신, 몰두를 특징으로 하여 학업에 대한 열정과 의미를 찾게 하며, 즐거움으로 학업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신적 회복력을 의미한다(Schaufeli et al., 2002). 학업열의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학업열의가 아동의 학교적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업열의는 아동의 자발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에 아동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민미희, 2022). 즉, 학업열의는 아동에게 있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임효진·이소라, 2020). 그러나 아직까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업열의를 다루는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촉진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다양한 영향 요인 중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대부분 취약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학습부진과 학업성취 하락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차윤님·좌현숙, 2016)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비이용 아동 사이의 발달의 격차를 줄여주는 노력이 중요한데,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지역아동센터는 이용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교육, 문화, 정서, 보호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4a). 이와 같은 서비스는 교육을 통해 이용 아동의 학습능력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이용 아동의 안정적인 사회, 정서, 신체 발달을 통해 학업에 더 관심을 가지고 몰두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 공적 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아동에게 다양한 발달 영역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후 아동의 학업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Welsh et al., 2020). 그러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를 매개변수로 활용한 연구(최보라·김준수, 2024)를 제외하면, 국내에서 아직까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수행되지 않고 있어 이 같은 영향의 관계를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이라는 매개요인에 주목하고자 한다.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인식하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서를 의미한다(Rosenberg, 1965).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 아동은 자신의 잠재적인 능력을 발휘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이하리·이영선, 2015). 따라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더해서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학업 영역에서도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조절력을 높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낸다(임효진, 2021).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업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비이용 아동과 비교하여 자아존중감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방성아, 2019),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해당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여 보다 구체적인 개입의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지원을 위한 보다 상세한 근거를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강화시키는 보호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센터 교사지지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특성상 방과 후 많은 시간을 센터에서 보내면서 센터 교사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센터 교사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조영아·이재은, 2023).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습행동과 관련하여 교사지지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이용 아동이 지지받고 있음을 느끼고, 아동이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용 아동의 학습에 대한 흥미, 의지, 동기 형성에 도움이 된다(허정무·고미옥·문학모, 2016).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지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도 교사지지는 보호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교사에게 만족감을 느끼거나 긍정적인 지지를 얻으면 이는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김영숙, 2011; 박신혜, 2019).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교사를 존경하고 친밀한 존재로서 인식하는 것이 서비스 만족감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도록 돕는다(김양이·박미란, 2007). 이 같은 점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지지에 따른 차이를 예상하게 해준다.
본 연구는 앞선 논의를 종합하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에 의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해서 이러한 직접적 영향 및 매개효과에 있어서 교사지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연구질문 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 2.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연구질문 3.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매개효과는 센터 교사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내에서 아동의 보호와 교육, 그리고 전반적인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주로 경제적, 사회적 취약계층의 아동에게 방과 후 돌봄, 학습지도, 문화 및 예체능 활동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보건복지부, 2024a). 구체적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이용 아동에게 안정적 생활과 건강한 발달을 위해 제공하는 지원 서비스는 숙제지도, 교과학습지도, 취미활동, 동아리활동 등의 교육 서비스, 체험활동, 참여활동 등의 문화 서비스, 상담, 또래활동 등의 정서지원 서비스, 급식지도, 위생관리, 귀가지도 등의 보호 서비스를 포함한다(보건복지부, 2024a).
한편, 학업열의는 학업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느껴 충분히 집중하여 학업에 능동적이고 유의미하게 참여하는 상태로 정의한다(이현아·조한익, 2013). 학업열의가 높은 아동은 학습 과정에서 흥미와 더 큰 동기를 보여 이는 궁극적으로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더해서 학생의 학업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김유현·신승현, 2019).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m Theory)에 따르면(Bronfenbrenner, 1979), 아동의 성장은 아동의 특성과 다양한 환경체계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적응해가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 중 가장 근접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환경을 미시체계라고 하는데, 가족, 또래, 교사, 학교 등이 포함된다. 이를 본 연구에 적용해보면, 지역아동센터는 이용 아동에게 있어 미시체계로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는 이용 아동이 방과 후 시간을 보내며 다양한 교육, 문화, 정서지원, 보호 서비스를 받게 되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직·간접적으로 아동의 안정적 생활에 기여하여 학업열의라는 긍정적 발달 양상을 촉진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는 이용 아동의 학습능력 향상, 학습동기 부여, 바른 학습태도 형성 등의 기능을 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4a). 그러나 아직까지 직접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학업열의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련 연구를 통해 경험적 근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수행되었다(김서현·임혜림·정익중, 2017; 선미정·조항용, 2020; 이은수·이수용·홍세희, 2016).
앞선 논의와 학업열의의 중요성에 비해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점(정다혜, 2024)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에 대한 도움의 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가정하고자 한다.
2.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의 경험과 타인의 평가로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평가하는 개념적 체계로 정의된다(문두식·최은실, 2015; 이순희·허만세, 2014). 이는 개인의 적응과 건강한 성격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강상진·전민정, 2006; 김준수·최보라, 2023), 특히 아동의 경우, 학교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는데 도움을 준다(고백합·석말숙, 2022).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바탕을 둔 자아존중감 형성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회학습 전통의 이론에 따르면(Rosenberg, 1965), 어떤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가치를 학습하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태도나 행동의 영향에 의해 형성된다고 본다. 이를 본 연구에 적용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회화가 진행되어 사회적 가치를 배우게 되고, 긍정적인 발달의 자극과 보호를 통해 스스로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어 자아존중감을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선행연구에서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도움 정도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이에 정적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김준수·최보라, 2023; 김현숙·서윤, 2017).
한편, 자아존중감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다. 긍정심리학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지니는 동기 부여의 힘을 강조한다(Mruk, 2006). 자아존중감은 사람들이 삶의 과제들을 해결해 나가도록 이끌어 스스로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존중받고 가치가 있다고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더해서 자아존중감은 어떤 개인의 성장 및 자아실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Mruk, 2006). 이는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인간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설명을 본 연구에 적용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이들이 학업에 몰두하고 학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적 자원의 역할을 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하여 경험적 근거를 확인해볼 수 있는데,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의 정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들이 상당수 존재한다(김순규 외, 2023; 임효진, 2021; 정은혜·김현주·손은령, 2021).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업열의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하나의 모형 안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앞선 이론적, 경험적 고찰을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의 수준이 높으면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아지고, 이어서 학업열의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 가정하고자 한다.
3. 센터 교사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본 연구는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직접적 영향 및 매개효과에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PROCESS Macro Model 8의 경우 직접적 영향에서의 조절효과에 더해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를 기반으로 매개효과에서의 조절효과를 분석해준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센터 교사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사회적 지지란 스트레스 상황에서 받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켜주는 대인관계에서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자원이며, 아동 청소년의 주요 사회적 지지자는 교사, 친구, 가족 등이 있다(설진배·김소희, 2017). 특히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센터 교사와 하루에 상당 시간을 함께 상호작용하며 부모 다음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센터 교사지지는 중요한 사회적 지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김민성·박신희, 2015).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에 의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이러한 조절효과는 모두 애착이론에 근거한 내적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내적작동모델이란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쌓은 경험을 통해 자신의 성격과 행동을 형성하는 틀을 의미한다(Bowlby, 1969). 따라서 애착 대상자와 안정적 애착을 쌓은 아동은 스스로 사랑받고 주목받을 가치 있는 존재로서의 내부작동모델을 가지고 있어 이를 다른 관계에서도 적용한다(박경순, 2010). 특히 안정적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닌 내적 정보처리를 통해 건강한 행동의 결과를 보여준다(박경순, 2010). 이와 같은 이론적 설명을 본 연구에 적용해보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교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보다 안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이 형성되어 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이해할 수 있다.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직까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센터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적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래혁과 장혜림(2020)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의 2기 자료를 활용하여 센터 서비스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해당 선행연구에서는 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그러한 영향력이 교사지지에 따라 커지는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해당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조절효과는 유의확률 0.1%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교사지지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국외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도 공적 보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교육, 보육, 영양, 정서 지지 등 다양한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정서적 지지와 상호작용 기술 등을 훈련받아 교사 자질의 수준이 높은 경우 더 크게 나타난다는 점을 보고하였다(Son et al., 2013). 또한 김민성과 박신희(2015)는 광주지역 15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센터 교사지지에 따라 더 커진다는 조절효과를 보고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경험적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센터 교사지지가 증가할수록 더 커질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가정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센터 교사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정을 기반으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업열의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 센터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 해당 매개효과가 센터 교사지지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커질 것이라 가정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는 앞서 고찰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각각의 연구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연구모형을 통해 표현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의 수준이 높아지면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아지고, 이어서 학업열의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교사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커질 것이다.
2. 분석자료 및 표본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 특성, 환경 특성, 센터 특성 등을 조사하여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녔다(아동권리보장원, 2021).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는 층화집락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전국 단위의 대표성을 지니는 이용 아동 표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3기 패널 중 가장 최신의 자료인 3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차수의 조사 대상은 578명의 이용 아동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핵심 변수에 결측값이 있는 사례들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센터 서비스 도움 정도 66사례, 자아존중감 4사례, 학업열의 7사례). 최종 분석 표본은 501명이었다.
3. 분석변수 및 측정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의 측정을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에 포함된 학업열의 척도 16개 문항을 활용하였다. 해당 문항은 이자영과 이상민(2012)이 개발한 한국형 학업열의 척도로 아동의 학업에 대한 헌신, 활기, 몰두, 효능감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하여 1점(전혀 그렇지 않음)에서 4점(매우 그러함)의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16개 문항의 평균점수(α=.927)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학업열의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센터 서비스 도움 정도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9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아동권리보장원, 2021). 해당 패널조사에는 센터 서비스와 관련하여 방과 후 자습, 주요과목 지도, 취미활동, 사회활동, 또래활동, 상담, 식사, 위생지도, 귀가지도에 대하여 도움의 정도를 1점(전혀 그렇지 않음)에서 5점(매우 그러함)의 리커트 척도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개 문항의 평균점수(α=.905)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의 수준이 높아짐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에 포함된 10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해당 문항은 Rosenberg(1965)에 의해 개발된 자아존중감 척도를 하형석 외(2018)가 번안한 것으로 자신에게 만족하는 정도,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 정도, 자신이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도 등 10개 질문에 1점(전혀 그렇지 않음)에서 4점(매우 그러함)의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문항의 방향을 일치시킨 후 10개 문항의 평균점수(α=.831)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아질수록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인 센터 교사지지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에 포함된 5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해당 문항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아동권리보장원, 2021). 센터 이용 아동은 센터 교사와 관련하여 고민을 잘 들어주는 정도, 친절한 정도, 평소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 등의 5개 문항에 대하여 1점(전혀 그렇지 않음)에서 5점(매우 그러함)의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5개 문항의 평균점수(α=.887)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이용 아동이 인식하는 센터 교사지지의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용 아동의 성별(1: 남자의 가변수)과 건강상태(1: 좋지 않음의 가변수), 가구 경제수준(1∼7점; 높으면 수준 높아짐), 센터 이용 아동의 수, 센터 소재지(1: 대도시, 2: 중소도시, 3: 읍면지역; 회귀분석에서 1번 범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 범주의 가변수를 생성하여 사용함)를 분석에서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에서 활용하는 모든 변수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PROCESS Macro 중에서 Model 4를 활용하여 연구가설 1과 2를 검증하였다. Model 4는 일련의 회귀분석과 붓스트래핑을 기반으로 전체효과와 매개효과,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해준다(Hayes, 2022).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가설은 Model 4의 전체효과 선택사항을 통해 수행된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가설은 Model 4의 독립변수의 매개변수에 대한 1단계 회귀분석과 독립 및 매개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2단계 회귀분석, 붓스트래핑(10,000개 표본)을 통한 매개효과의 유의도 확인 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셋째, PROCESS Macro 중에서 Model 8을 활용하여 연구가설 3을 검증하였다. Model 8은 회귀분석과 붓스트래핑을 기반으로 전체효과 및 매개효과에서의 조건부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 각각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해준다(Hayes, 2022).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가설은 Model 8의 1단계 회귀분석(독립과 조절변수, 독립과 조절변수의 평균중심화된 상호작용항이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과 2단계 회귀분석(독립, 매개, 및 조절변수, 독립과 조절변수의 평균중심화된 상호작용항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조절변수에 따른 조건부 전체효과와 조건부 매개효과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조절변수에 따른 조건부 매개효과 산출값과 조절된 매개지수의 통계적 유의성은 붓스트래핑(10,000개 표본)을 통해 확인하였다. 모든 회귀분석에서는 통제변수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SPSS(Ver. 25.0)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Ⅳ. 연구결과
1. 분석 대상과 주요 변수의 특성
<표 1>에서와 같이 분석 대상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성별은 여자 267명(53.5%), 남자 234명(46.7%)으로 여자 아동의 수가 약간 더 많았다.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건강상태는 좋다고 응답한 경우가 469명(93.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표 1>에서 지역아동센터의 소재지는 중소도시가 228개(45.5%)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대도시 182개(36.3%), 읍면지역 91개(18.2%)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 경제수준은 1점에서 7점까지의 범주 중 평균 4.81점(SD=1.29)으로 보통인 중간 수준에 가깝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 수는 최소 15명에서 최대 49명의 범주 중 평균 30.22명(SD=7.05)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표 2>에 주요변수의 특성이 제시되어 있다. 분석 대상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9개 유형에 대하여 도움 정도를 1점에서 5점까지의 범위에서 평균 3.80점(SD=.53)으로 보고하였다. 자아존중감은 1점에서 4점까지 중 평균 3.05점(SD=.49)이었고, 센터 교사지지는 1점에서 5점까지의 범위에서 평균 4.02점(SD=.78)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매개변수와 조절변수 모두 중간점수보다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학업열의는 1점에서 4점까지의 범위에서 평균 2.54점(SD=.47)으로 거의 정확하게 중간점수에 가깝게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의 분석 결과를 통해 모든 주요 변수들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벗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표 3>은 주요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먼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자아존중감(r=.359, p<.001) 및 센터 교사지지(r=.562, p<.001), 학업열의(r=.398, p<.001)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자아존중감은 센터 교사지지(r=.278, p<.001) 및 학업열의(r=.417, p<.001)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센터 교사지지는 학업열의(r=.386, p<.001)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표 4>는 독립변수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종속변수인 학업열의에 미치는 전체효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분석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15.705, p<.0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B=.341, p<.001)는 학업열의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높아지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수준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표 5>는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독립변수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종속변수인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을 통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1단계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해당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18.928, p<.0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B=.323, p<.001)는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 독립,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했고(F=20.680, p<.0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B=.250, p<.001)와 자아존중감(B=.280, p<.001) 모두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2단계 분석을 수행한 후 계산된 매개효과는 .091(CI=.052∼.135)이었고, 붓스트래핑에 의해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 정도의 수준이 높아지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높아져 최종적으로 학업열의의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두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표 5>의 2단계 분석 결과에서 매개변수가 추가로 투입된 이후에 독립변수 계수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했기 때문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PROCESS Macro Model 8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회귀분석 결과를 연속해서 도출하여 <표 6>에 제시하였다. 먼저, 1단계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센터 교사지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센터 교사지지 사이의 평균중심화된 상호작용항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해당 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F=16.959, p<.001)하였고, 지역아동센터 서비스(B=.285, p<.001)와 센터 교사지지(B=.068, p<.05)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센터 교사지지 사이의 상호작용항(B=.166, p<.001)은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더해서 해당 상호작용항을 분석 모형에 추가로 투입하는 것은 모형의 설명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F=13.171, p<.001).
<표 6>의 1단계에서 상호작용 분석의 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그래프로 표현하면 <그림 2>와 같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 정도의 수준이 증가하면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증가하는 정적 관계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영향력은 센터 교사지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표 6>의 2단계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자아존중감, 센터 교사지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센터 교사지지 사이의 평균중심화된 상호작용항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해당 모형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20.160, p<.0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B=.165, p<.001), 자아존중감(B=.247, p<.001), 센터 교사지지(B=.135, p<.00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센터 교사지지 사이의 상호작용항(B=.118, p<.01) 모두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추가함으로써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7.878, p<.01).
2단계 분석의 상호작용 결과를 도식화하여 표현하면 <그림 3>과 같다.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도움 정도의 수준이 증가하면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수준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영향 관계는 센터 교사지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커졌다.
<표 7>은 앞선 PROCESS Macro Model 8을 통해 수행한 2단계 분석을 바탕으로 조절변수 수준에 따른 조건부 전체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먼저, 센터 교사지지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조건부 직접효과는 센터 교사지지가 낮은 경우(-1표준편차) .072, 평균인 경우 .165, 높은 경우(1표준편자) .25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센터 교사지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학업열의에 대한 직접효과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표 7>에서 센터 교사지지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효과는 센터 교사지지가 낮은 경우(-1표준편차) .038, 평균인 경우 .071, 높은 경우(1표준편차) .103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사이의 정적 매개 관계가 센터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더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센터 교사지지의 정도에 따른 조건부 매개효과 사이의 차이를 검증하는 조절된 매개지수는 .041(CI=.012∼.078)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가 서비스와 학업열의 간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통한 매개효과를 조절한다는 세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전국적인 수준에서 대표성을 지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표본을 활용하여 센터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센터 교사지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의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태체계이론(Bronfenbrenner, 1979)을 기반으로 예측한 바와 같이 지역아동센터가 이용 아동에게 근접한 환경체계로서 학업열의라는 긍정적인 발달 양상을 촉진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즉,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는 이용 아동이 학습에 몰두할 수 있도록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김서현 외, 2017; 이은수 외, 2016; 선미정·조항용, 2020)과 큰 맥락에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더해서 본 연구는 최근 아동의 학교적응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는 학업열의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를 촉진하기 위해 센터 서비스의 역할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둘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이의 정적 관계를 보고한 연구(김준수·최보라, 2023; 김현숙·서윤, 2017) 및 일반 아동을 대상을 자아존중감이 학업열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연구(김순규 외, 2023; 임효진, 2021; 정은혜 외, 2021)와 관련이 있다. 이에 더해 본 연구는 개별적으로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 자아존중감, 학업열의를 하나의 모형 안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회학습이론에 바탕을 둔 자아존중감 형성 이론(Rosenberg, 1965)과 긍정심리학(Mruk, 2006)을 통해 가정한 것처럼 지역아동센터에서 이용 아동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은 자아존중감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성장 및 자아실현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밝혀낸 부분 매개효과의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를 통해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해준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모두 센터 교사지지가 증가할 때 더 커진다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인식하는 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나 사회적 지지 등 환경적 보호 요인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센터 교사지지에 의해 강화되는 조절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김민성·박신희, 2015; 이래혁·장혜림, 2020)과 유사한 맥락에 놓여있다. 특히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업열의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서 센터 교사지지에 따른 강화 조절효과를 최초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결과는 내적작동모델(Bowlby, 1969)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센터 교사와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면, 센터 서비스라는 환경적 영향에 의한 긍정적 적응의 결과가 더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본 결과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를 촉진하기 위한 개입에 있어서 센터 교사지지의 역할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앞서 논의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의 형성을 돕기 위해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내실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아동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높이기 위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지역아동센터는 이용 아동의 연령대와 학습 역량, 학업 수준이 모두 다르므로 아동별로 맞춤형 학습지도 및 계획이 필요하다. 선행연구(김서현 외, 2017)에서는 단순히 교과 공부와 성적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아동 개개인이 가진 특성에 맞는 학습 방법을 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견고한 학습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 방향을 제시하였다.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 개발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비스 전반에 걸쳐 아동이 능동적이고 독립적인 학습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경기도는 정부보조금(기본운영비, 추가지원금)과 지자체 별도지원금 모두 전국 평균 금액보다 높은 편이다(보건복지부, 2024b). 또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외의 기타인력으로, 시도별 정부지원인력과 민간지원인력 대부분 경기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24b). 이러한 재정 및 인력의 지원은 경기도의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확대와 개편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불어 민간지원인력을 통해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강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좀 더 효율적인 학습지도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아동의 학습 욕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으로 종사자 배치 기준을 확대하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인력을 확충하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아동에게 개별로 집중할 수 있는 시간과 에너지를 최대한 보장하고, 아동지도 뿐만 아니라 행정업무를 비롯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업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경기도는 센터 당 평균 이용 아동수가 28.4명으로 전국 평균 26.5명을 넘어 가장 높은 편인만큼(보건복지부, 2024b), 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열의 형성을 위해 센터 서비스의 개선과 더불어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때 성취감을 느끼고 흥미를 갖게 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별로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맞춤화된 지원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보다 효율적인 지도법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기존 서비스에 더해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한 심리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한 개입 과정에서 센터 교사지지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교사는 이용 아동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때 아동이 정서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충분한 이해와 지지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면, 센터 이용 아동에게 있어 중요한 타인으로서 센터 교사 스스로 아동에게 정서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이해하고 아동을 존중하며, 애정을 주는 존재로서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에도 아동과 교사가 관계를 형성하고 강화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켜 볼 수 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3기 데이터를 활용한 것임.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This work used data from the 3rd Child Panel Survey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References
- 강상진·전민정(2006). “평준화와 비평준화 지역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차이: 자아존중감이 가계소득 및 성적수준과 갖는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4(4): 195-221.
- 고백합·석말숙(2022).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결핍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산업융합연구』, 20(3): 99-109.
- 김민성·박신희(2015).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6(2): 55-82.
- 김서현·임혜림·정익중(2017).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만족이 학습습관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37: 119-146.
- 김순규·신예림·이희순·전예빈(2023). “부모, 또래, 교사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손가정 아동과 양부모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7(2): 309-327.
- 김양이·박미란(2007).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4(3): 61-89.
- 김영숙(2011).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이용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유현·신승현(2019).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우울의 종단적 인과관계”, 『아동교육』, 28(1): 139-161.
- 김준수·최보라(2023).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도움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에듀테인먼트연구』, 5(3): 63-75.
- 김현숙·서 윤(2017).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한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다집단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9(4): 1-24.
- 문두식·최은실(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0): 213-236.
- 민미희(2022).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인간발달연구』, 29(3): 1-22.
- 박경순(2010). “존 보울비(John Bowlby)와 애착이론”, 『한국심리치료학회지』, 2(1): 109-119.
- 박신혜(2019).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방성아(2019).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차별가해경험과 차별피해경험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5): 163-170.
- 보건복지부(2023). 『2022년 12월 말 기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24a). 『2024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24b). 『2023년 12월 말 기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 선미정·조항용(2020).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혼합연구”, 『청소년문화포럼』, 61: 5-35.
- 설진배·김소희(2017). “다문화 배경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평화학연구』, 18(1): 155-180.
- 아동권리보장원(2021).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조사개요』. 서울: 아동권리보장원.
- 이래혁·장혜림(2020).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도움 정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0: 25-51.
- 이순희·허만세(2014).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학교사회복지』, 27: 253-274.
- 이은수·이수용·홍세희(2016).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용아동의 학교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0: 59-85.
- 이자영·이상민(2012).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4(1): 131-147.
- 이하리·이영선(2015). “청소년의 교사·또래애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3(2): 467-486.
- 이현아·조한익(2013).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 동기와 목표과정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75-601.
- 임효진(2021). “그릿과 학업열의의 유형 및 자존감의 예측력”, 『교육학연구』, 59(1): 79-104.
- 임효진·이소라(2020).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한국초등교육』, 31(1): 109-127.
- 정다혜(2024). “청소년의 그릿, 학업열의 및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3(1): 1-20.
- 정은혜·김현주·손은령(2021).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67-85.
- 조영아·이재은(2023).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32(3): 131-148.
- 차윤님·좌현숙(2016).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사회복지』, 33: 95-125.
- 최보라·김준수(2024).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사회과학리뷰』, 9(3): 69-88.
- 하형석·이종원·정은진·김성은·한지형(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IX: 사업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허정무·고미옥·문학모(2016).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가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8): 313-322.
- Bowlby, J.(1969). Attachment and loss (No. 79). Random House.
-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4159/9780674028845]
- Hayes, A. F.(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3rd ed.). The Guilford Press.
- Mruk, C. J.(2006). Self-esteem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self-esteem.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5), 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
Son, S. H. C., Kwon, K. A., Jeon, H. J., & Hong, S. Y.(2013). Head Start classroom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benefit from teachers’ qualifications and ongoing training. Child & Youth Care Forum, 42, 525-553.
[https://doi.org/10.1007/s10566-013-9213-2]
-
Welsh, J. A., Bierman, K. L., Nix, R. L., & Heinrichs, B. N.(2020). Sustained effects of a school readiness intervention: 5th grade outcomes of the Head Start REDI progra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3, 151-160.
[https://doi.org/10.1016/j.ecresq.2020.03.009]
2014년 미국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 “중학생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학교부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2024)”,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부모가정 여부에 따른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2024)”, “한부모가족의 여가활동이 부모의 우울을 통해 중·고등학생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2024)” 등이 있다. 관심분야는 취약계층 아동 및 부모의 특성과 아동발달이다.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학대와 스마트폰 과의존: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23)”가 있고, “아산시 온주종합사회복지관 지역주민 욕구조사(2023)”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심분야는 아동복지, 가족복지, 성소수자 인권 등이다.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다. 관심분야는 장애인 일자리, 아동복지 등이다.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다. 최근 “아산시 온주종합사회복지관 지역주민 욕구조사(2023)”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심분야는 지역사회복지, 가족복지, 아동·청소년복지 등이다.
현재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다. 관심분야는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사회복지정책 등이다.